질환백과
- 정의
망막 열공은 망막과 유리체(안구 내부를 채운 투명한 젤 성분의 물질)가 붙어 있는 부위에서 망막이 찢어져 구멍이 생긴 것을 말합니다.
- 원인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습니다. 망막과 붙어 있는 유리체가 떨어지면서 망막이 찢어져 구멍이 생길 수도 있으며, 근시가 심한 경우 주변부의 망막이 얇아져서 구멍이 나는 경우도 있으며 아무런 이유 없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 증상
초기에는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갑자기 시야가 번개치듯 번쩍이거나 날파리가 날아다니기도 하고, 망막 열공이 생기는 과정에서 망막 혈관이 손상되면 출혈이 동반되어 눈앞에 먹물을 뿌린듯 흐려지기도 합니다. 열공이 심해지면 사물이 가려 보이거나 안보이기도 합니다.
- 진단
먼저 시력과 안압을 측정해 시력 감소의 정도를 검사합니다. 이후 전체적인 눈 검사를 하게 되는데 산동제를 눈에 넣은 후 약 30분 후에 동공이 커지면 도상검안경을 통해 망막을 관찰하면 쉽게 진단 할 수 있습니다. 산동제는 산동 6~7시간 후에 동공의 크기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 사이에 동공이 확대되어 있을 때는 눈 안으로 빛이 많이 들어가므로 눈이 부시고 가까운 글씨가 잘 안 보이는 증상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 치료
열공의 크기가 크지 않고 주변의 망막이 심하게 떨어져 있지 않으면 열공 주변으로 레이져 치료를 하게 됩니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망막에 화상을 유발시켜 열공이 더 이상 주변으로 커지지 않게 하고 레이저가 접착제 역할을 합니다.
- 경과
초기에는 작은 구멍이지만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구멍의 크기가 점점 커지고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평소 날파리 같은 것들이 보였던 분들의 경우 날파리가 갑자기 커지거나 많아지거나 근시가 심한 분들은 반드시 안과 검진을 받으셔야 합니다. 레이저 치료 후에도 치료 흔적이 약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1년에 1~2번 정도 정기검진을 받으셔야 합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