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백과
- 정의
요로, 즉 소변이 흐르는 길에 감염이 있는 것으로 감염 부위에 따라 하부 요로 감염인 방광염, 요도염과 상부 요로 감염인 신우신염으로 나뉩니다.
- 원인
요로 감염의 원인균은 85%가 대장균입니다. 감염 경로는 요도로부터 방광으로 올라가는 상행성 감염이 대부분이며, 여성에게서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요로 감염은 해부학적 이상이나 기능적 이상이 없이도 발생하며, 비뇨기계와 관련된 수술이나 기계적 조작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증상
요로 감염의 증상은 감염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상부 요로 감염인 신우신염의 경우는 발열, 오한, 옆구리 통증과 배뇨 시 통증, 빈뇨, 야뇨, 급뇨 등이 나타나게 되며, 오심, 구토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반면, 하루 요로 감염인 방광염일 때 배뇨통, 빈뇨, 잔뇨감, 소변이 마려운 느낌을 참기 어려운 증상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요도염은 잠복기가 3~10일, 길게는 3주까지로 다양하며, 요도 분비물, 배뇨통, 요도 가려움증 등이 증상이 나타나고 때로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 진단
요로 감염은 환자가 느끼는 임상 증상과 소변검사 및 소변 배양 검사를 기본으로 하게 됩니다.
- 치료
요로 감염의 초기에는 항생제를 사용하며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에 따라 항생제가 선택됩니다. 단순 신우신염의 경우1~2주간 항생제를 통해 치료하며 필요시 항생제 주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좋아지지 않는 경우 비뇨 생식기계에 다른 이상이 있는지 추가 검사, 즉 신장 초음파나 CT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경과
요로 감염의 경우 항생제로 호전되고, 요로 폐쇄가 있거나 다른 신우신염의 경우 주사 항생제가 필요하며 치료 기간도 길어질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반복적으로 생기는 요로 감염은 해부학적이나 기능적인 비뇨기계 이상 없이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인해 생길 수 있습니다.
요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수분 섭취를 많이 하고, 성교 후 바로 소변을 보거나 대변을 보고 앞에서 뒤로 닦는 등 생활 습관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