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백과
- 정의
- 화농성 간농양은 세균에 의해 간에 고름집(농양)이 형성되는 질환입니다.  
- 원인
- 화농성 간농양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간농양에 해당합니다. 화농성 간농양은 면역 체계가 간에 들어온 세균을 초기에 제거하는 데 실패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면역 기능의 저하가 간농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화농성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은 세균이 간에서 생산된 담즙이 배설되는 담관을 거꾸로 타고 올라와서 침범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담석증(담관 결석, 담낭 결석 등), 간내 결석증, 담도 악성 종양 등 담도계 질환이 발생하거나 간이식 수술 등에 의해 담도의 구조가 바뀌면서 정상적으로 세균의 침입을 막던 구조가 손상되어 세균이 침범하게 되면 이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뇨, 만성 신질환, 간경변과 같은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면역 기능이 저하되면서 세균의 침입을 막지 못하여 쉽게 발병합니다. 
- 증상
- 화농성 간농양은 미열 및 오한, 상복부 통증, 오심(구역질), 구토, 설사, 무기력 등 몸에 염증이 있을 때 나타나는 소견을 보입니다. 이 때문에 다른 질환(감기, 몸살 등)으로 잘못 진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할 경우 상복부를 눌렀을 때 통증이 있으며 간이 커져 있거나 황달(빌리루빈이 침착되어 얼굴이나 몸이 노랗게 되는 것)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화농성 간농양이 의심되는 경우 혈액 검사와 간초음파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진단
- 화농성 간농양은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치와 염증 검사지수가 증가되어 나타납니다. 화농성 간농양은 알칼리인산분해효소가 상승하는 것이 비교적 특징적입니다. 그러나 확실한 진단은 영상학적 검사, 즉 간 초음파나 컴퓨터단층촬영(CT)을 이용합니다. 화농성 간농양의 원인균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혈액 배양이나 배액된 고름의 배양이 필요합니다. 그 결과를 확인하는 데는 2~7일이 걸리므로 의심되면 일단 배농과 경험적 항생제 치료를 시작합니다.  
- 치료
- 간농양 치료는 개인의 상태와 농양의 개수, 원인 질환에 따라 달라집니다. 화농성 간농양 치료는 항생제 치료와 고름의 배출(배농)이 주된 치료법입니다. 배양 검사를 위해 농양을 흡인하고 혈액 배양 검사를 시행한 후 즉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합니다. 항생제는 2~3주간 주사제로 사용한 후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경구 항생제로 바꾸어 총 4~6주간 치료 합니다. - 화농성 간농양 치료의 핵심은 고름집 내부에 있는 고름을 제거해 주는 것입니다. 이는 항생제만으로는 대부분 충분한 치료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초음파로 농양을 보면서 피부에서 바늘을 농양 안쪽까지 찔러 넣는, 초음파 유도 하 농양 흡인 검사를 시행하거나, 고름이 흘러 나오도록 관을 삽입하는 경피적 배농술을 시행합니다. 이러한 시술 후에도 간농양이 충분히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하기도 합니다. 
- 경과
- 항생제의 발달로 화농성 간농양의 합병증 발병률 및 사망률이 감소하였습니다. 하지만 농양이 폐나 복강에 발생하여 터지면, 호흡 부전, 복막염이 발생하거나 패혈증이 생겨 치료가 힘들 수도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