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백과
- 정의
- 불임은 부부가 피임하지 않고 1년 이상 정상적인 성관계를 하는데도 임신이 안 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불임 발생 빈도는 전체 가임 여성의 10~15% 정도입니다. 일반적으로 여성과 남성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불임 가능성이 커집니다. 한 번도 정상적인 임신을 못한 경우를 원발성 불임이라고 하고, 이전에 한 번이라도 임신했던 경우를 속발성 불임이라고 합니다.  
- 원인
- 여성 불임의 가장 흔한 원인은 배란 장애입니다. 또한 난관, 복막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난관이 막히거나 수종이 생겨 소통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염증, 자궁경관의 점액 부족 등 자궁경관에 생긴 문제가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여러 검사를 모두 마쳤는데도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 즉 원인 불명인 경우도 있습니다.  
- 진단
- 부부가 피임하지 않고 1년 이상 성관계를 가졌는데도 임신이 되지 않으면 불임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경우에는 전문의를 찾아 원인을 알아내고 그에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기본적인 불임 검사로는 혈중 호르몬 검사, 난관 조영술, 초음파 검사, 배우자의 정액 검사 등이 있습니다. 
- 치료
- 특별한 치료 없이 임신을 기다려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불임의 원인이 되는 일부 질환은 건강상의 다른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임 부부가 당장 임신을 원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배란을 유도할 수 있고, 인공수정이나 시험관아기 시술 등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외과적 수술로 자궁내막증, 유착, 자궁근종, 자궁 기형 등을 치료하여 불임의 원인을 제거하고 임신을 시도하기도 합니다. 
- 경과
- 불임의 합병증은 따로 없습니다. 그러나 치료 적기를 놓쳐 35~44세가 되면 불임의 빈도가 증가하며, 약 30%는 불임이 됩니다. 
- 주의사항
- 최근 환경 오염과 스트레스 등에 의해 불임 환자의 수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비만도 불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각종 스트레스와 공해, 비만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불임 치료는 다른 치료에 비하여 힘들고 기약 없이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끈기와 희망을 갖고 전문의와 상의해야 합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