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open

닫기
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검사/시술/수술정보

다른질환보기
  • 인공 고관절 치환 수술
    인공 고관절 치환 수술(Total hip arthroplasty )
정의

인공 고관절 치환 수술은 파괴된 고관절의 일부를 인공물로 대체하여 고관절의 운동 기능을 보존하고 통증을 감소시키며 일상적인 활동을 가능케 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운동 범위를 향상시키고 양측 다리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인공 고관절 치환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이 수술을 통해 고관절에 이상이 있는 환자들이 일상 생활을 영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공 고관절의 평균 수명은 재료에 따라 다르며, 약 20년 정도입니다.

준비사항

내과적 질환으로 인해 아스피린, 와파린 등의 혈액 응고 저해제를 오랫동안 복용하였거나 출혈의 소인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해 수술 전 의료진에게 반드시 알려야 합니다.

 

수술 전 X선 촬영, CT, MRI 검사 등을 이용하여 관절 상태를 확인합니다.

적응증

고관절염, 고관절의 이형성증, 선천성 고관절 탈구, 외상, 감염, 특발적인 원인에 의해 고관절에 통증이 발생하고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 수술을 시행합니다.

검사/시술/수술 방법

1. 수술을 진행할 고관절 측의 피부를 절개합니다.
2. 주위 근육과 관절막을 절개합니다.
3. 대퇴골의 골두를 제거합니다.
4. 제거한 부분을 인공 고관절로 대치합니다.
5. 수술 부위를 봉합합니다.

수술의 성공 가능성은 환자별로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80% 이상입니다.

 

 

예상 소요 시간은 2~3시간으로 추정되나, 수술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수술 준비 및 과정에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부득이하게 수술 방법이 변경되거나 수술 범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경과합병증

수술 후 하루가 지나면 휠체어에 앉을 수 있으며, 수술 후 2~5일 째에는 체중을 부분적으로 부하시켜 워커 보행이 가능합니다. 일주일 정도가 지나면 워커나 목발을 이용하여 원활한 보행이 가능하므로 퇴원합니다. 수술 후 2~3주에 실밥을 제거하며, 약 3개월 동안 목발 보행을 지속해야 합니다.

 

수술 후 탈구, 관절의 해리·마모·골 용해, 감염, 폐색전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수술 후 특정 질환 없이 열이 지속되는 경우, 무릎이나 족관절 부위가 심하게 붓는 경우, 수술 부위에서 지속적인 분비물이 발생하는 경우, 수술 부위가 빨갛게 되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다리의 위치 및 모양이 변경된 경우에는 병원에 방문하여 진찰을 받도록 합니다.

 

인공 관절 치환 수술 이후 3개월, 6개월, 매년마다 주기적으로 외래 경과 관찰을 통하여 관절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그러나 환자에 따라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면 관절이 안정화되어 병원을 방문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주기적인 진찰과 X선 촬영은 인공 관절을 안전하고 오래 사용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헬스팁

인공 고관절 치환 수술 후 고관절 주위 근육이나 힘줄이 완전히 회복되기 전에 고관절을 과도하게 회전시키고 움직일 경우 탈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통 수술 후 12주 이전에 발생한 탈구는 이후 절반정도에서 다시 탈구되어 잦은 입원을 유발하기도 하며 인공 관절의 수명을 단축시키기도 합니다. 
치환술을 시행한 고관절이 탈구되면 많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조절되지 않는 극심한 통증과 함께 수술한 다리가 짧아지거나 안쪽으로 회전되기도 하며, 고관절의 운동 범위가 졸어들고 보행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탈구를 발견한 경우 최대한 빨리 병원에 방문하여 탈구된 관절을 폐쇄적 혹은 개방적으로 제위치로 돌려놓아야 합니다. 이후 근육이나 인대가 회복될 때까지 재탈구를 방지하기 위해 보조기를 착용합니다.

 

3개월 동안 유지해야 할 탈구 예방 자세
옆으로 잘 때 다리 사이에 두꺼운 베개를 끼웁니다.
엎드리는 경우 고관절이 안쪽으로 내회전되므로 자세를 취하지 말아야 합니다.
낮은 의자 혹은 팔걸이가 없는 의자, 낮은 침대를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쭈그리고 앉거나 다리를 꼬지 않습니다.

증상백과 - 증상에 대한 모든것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진료과 바로가기
  • 재단산하기관 바로가기
  • 센터 바로가기
  • 관련기관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8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5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