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open

닫기
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검사/시술/수술정보

다른질환보기
  • 늑간신경차단
    늑간신경차단(Intercostal nerve block)
정의

수술, 외상, 늑골 골절, 늑간신경이 지나가는 부위에 발생한 감염성 질환, 종양, 혈종 등에 의해 늑간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갈비 사이의 신경통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검사시기

외과적 절제, 늑골 골절, 늑골 병변, 흉관,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있는 경우 흉벽을 마취시키거나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시행합니다.

준비사항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검사/시술/수술 방법

늑골간신경은 척추를 중앙으로 양 옆쪽에, 갈비뼈 아래의 늑골간 정맥과 동맥의 아랫부분에 위치합니다.
1. 자세는 엎드리거나 옆으로 눕거나 앉은 자세에서 시행할 수 있습니다. 
2. 차단을 시행할 부분의 갈비뼈 하나하나를 표시하고 이를 잇는 선을 긋습니다.
3. 손가락으로 갈비뼈 아래를 단단히 고정하여 피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머리쪽으로 20도 가량 각도를 주어 바늘을 삽입합니다. 
4. 바늘이 갈비뼈의 아래쪽에 닿으면, 바늘을 움직여 갈비뼈 끝의 3mm 아래 부위로 바늘을 이동시키고 국소 마취제를 3~5mL 주입합니다. 
5. 이와 같이 증상에 따라 차단할 신경부위에 맞추어 마취제를 주입하여 시술합니다.
6. 초음파나 투시 촬영을 이용하면 더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술할 수 있습니다. 

검사결과

대부분의 경우에는 흉부의 통증이 감소하지만, 성공 가능성은 환자에게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반복적인 재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국소 마취제가 연수의 호흡중추에 직접 노출될 경우 무호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으로는 늑골 안쪽에 폐가 위치하고 있어 구멍이 생기게 되면 공기가 새어 늑막강에 공기가 차게 되는 기흉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마취 부위의 이상으로 전신 척추 마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 감염, 혈종, 국소마취독성, 신경손상, 신경주변근육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증상 발생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하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개인에 따라 마취제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약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과거력이 있었던 환자는 반드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헬스팁

통증은 발생하기 이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법으로는 일상생활에서 활동할 때, 장시간동안 같은 자세를 유지하거나 행동을 반복할 때에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휴식시간에는 스트레칭을 하여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통증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손으로 가슴을 지지하면서 호흡하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증상백과 - 증상에 대한 모든것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진료과 바로가기
  • 재단산하기관 바로가기
  • 센터 바로가기
  • 관련기관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8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5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