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시술/수술정보
- 정의
광선요법이란 신생아 황달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피부에 축적된 빌리루빈이 빛을 쬐면 그 형태가 변하여 담즙이나 소변으로 배설되고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감소하면서 황달이 호전됩니다. 푸른 빛을 띄는 형광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 검사시기
신생아 황달이 있는 아기에게 시행합니다.
- 준비사항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 검사/시술/수술 방법
피부 노출을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아기의 옷을 벗기고 자세를 자주 바꾸어 줍니다.
아기의 눈이 강한 빛에 노출되면 망막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대를 해서 눈을 보호해야 합니다.
광선 요법 중에는 탈수가 오기 쉬우므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 주어야 합니다.
- 주의사항
광선 요법의 부작용으로는 묽은 변, 피부 발진, 발열, 탈수, 청동색 아기 증후군(Bronze baby syndrome) 등이 있습니다. 청동색 아기 증후군이란 광선 요법을 받은 아기의 피부가 청동색으로 변하는 것을 말하며, 포합 빌리루빈이 증가되어 있거나 담관 폐쇄증이 있는 아기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 헬스팁
핵황달은 신생아 황달에서 혈액 내 비릴루빈의 농도가 과도하게 증가되어 신생아의 혈관뇌장벽을 통과해 뇌조직에 빌리루빈이 침착되어 신경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핵황달이 오면 아기가 축 쳐지고 잠을 많이 자며 근력이 약해지고 젖을 잘 빨지 않게되고 경련을 일으키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핵황달이 생기면 청력장애, 지능 이상, 뇌성마비 등의 후유증이 생길 수 있으니 빌리루빈 수치가 과도하게 올라가지 않도록 조기에 황달을 치료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교환 수혈은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많이 높아서 핵황달의 위험성이 높거나, 광선 요법을 해도 빌리루빈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때에 시행하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Rh 혈액형 부적합에 의한 용혈성 황달입니다.
건강한 만삭아는 생리적 황달 또는 모유 황달 시 높은 빌리루빈 농도에서도 합병증 없이 잘 견디지만, 아픈 미숙아들은 이보다 훨씬 낮은 농도에서도 핵황달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아기 상태에 따라 교환 수혈을 결정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광선 요법 중이라도 핵황달을 시사하는 임상 징후가 나타나면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에 상관없이 교환 수혈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