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시술/수술정보
- 정의
중심정맥은 손이나 발 등에 위치한 작은 말초 정맥과 달리, 몸통에서 연결되어 심장으로 들어가는 쇄골하 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 큰 정맥을 말합니다. 중심정맥관은 이러한 굵은 중심 정맥에 삽입되는 관의 일종으로 한 번 정맥관이 삽입된 후 그 기능이 잘 유지되면, 매번 치료 시 정맥 주사를 위한 별도의 혈관 확보가 필요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검사시기
손이나 발 등의 말초 정맥을 확보할 수 없을 때, 고농도 정맥주사약 또는 승압제 및 강심제 투약, 응급용 정맥주입로 확보, 빈번한 채혈이나 중심정맥압 등 혈역학적인 측정을 위해 안정된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준비사항
시술 전 4-6시간 금식합니다.
- 검사/시술/수술 방법
1. 시술 과정 중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삽입 부위에 국소 마취를 합니다.
2. 혈관을 주사기로 천자한 후 주사 바늘 내로 안내선을 삽입하여 도관이 들어갈 수 있는통로를 확보합니다.
3. 안내선을 통하여 도관을 혈관에 삽입하고 피부에 고정합니다.예상 소요 시간은 약 20~40분 정도로 예상되나, 시술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도관의 삽입과 관련하여 쇄골하정맥 또는 내경정맥을 통한 삽입 시 쇄골하 동맥의 전차, 상완 신경총의 손상, 기흉, 혈흉, 공기색전증, 상대정맥의 천자에 따른 종격동 내 출혈, 심막압전, 심방천공, 부정맥, 심장장비 등이 올 수 있고 대퇴 정맥을 통한 삽입시에는 대퇴동맥의 천자, 사타구니 혹은 후복막 출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삽입 후 세균성 감염, 도관 내 혈괴, 도관 삽입 부위 혈관의 혈전증 또는 협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맥 천자 및 피부 절개 부위에 지혈을 위한 모래주머니를 2시간 동안 올려놓아야 합니다. 이 기간동안은 자세 변경도 최소한으로 제한합니다.
도관을 삽입한 부위의 멍이나 붓기는 수일 내에 가라앉습니다.
도관의 삽입이나 사용 중 기흉, 혈흉, 수흉, 공기 색전증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관의 사용 중 위치가 이동했거나 도관이 막힌 경우는 확인이 필요하며, 도관에 의한 감염이 발생한 경우는 도관을 제거해야 합니다.
삽입 부위의 감염 예방을 위해 드레싱이 필요하며 도관의 막힘 예방을 위해 멸균 생리식염수를 주기적으로 주입합니다.
- 헬스팁
중심 정맥은 피부 표면에서는 보이지 않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시행하기 위하여 초음파나 인체 투시 장치 등의 영상 유도를 통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중심정맥관 삽입이 어려운 경우 말초삽입 중심정맥관(PICC) 삽입, 수술적 정맥 절개술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