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open

닫기
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검사/시술/수술정보

다른질환보기
  • 초음파 땀샘 흅입술
    초음파 땀샘 흡입술(Ultrasonic surgical aspiration for axillary osmidr)
정의

액취증은 땀샘 중에서 아포크린 땀샘의 과다 혹은 이상 분비로 인해 '암내' 라고 불리는 불쾌감을 주는 냄새가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액취증 수술은 털뿌리(모근) 근처에 모여있는 냄새나는 샘을 없애는 수술로서 최소한의 반흔을 남기면서 최대한 제거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러나 피부에 산재해 있는 약 5% 정도되는 냄새나는 샘은 완전히 없앨 수 없습니다. 따라서 수술 후 겨드랑이 냄새가 완전히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초음파 땀샘 흡입술은 초음파 지방 흡입기로 지방을 흡입할 때 지방세포만을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원리를 이용해 액취증의 원인이 되는 아포크린 땀샘세포를 없애는 것입니다. 겨드랑이 부위를 국소마취하고 겨드랑이의 자연스러운 피부 주름을 따라 약 1㎝ 길이로 2곳에 절개하고 피부 밑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기구를 집어넣어 피하지방층에 있는 지방세포와 아포크린 샘을 흡입해 냅니다.

준비사항

수술 전 2주간은 담배 및 아스피린 등의 약물 사용을 금합니다. 수술 범위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 겨드랑이 털을 전부 제거하지는 말아야 하며, 약 1cm정도를 남기고 가위로 미리 털을 자르면 편리합니다. 수술 후 2일간은 팔을 들 수 없으므로 수술 당일에는 단추를 채우는 옷을 입고 오시면 거꾸로 입을 수 있어 편리합니다.

적응증

액취증으로 냄새가 심하여 사회 생활에 곤란함을 겪는 경우 시행합니다.

검사/시술/수술 방법

1. 겨드랑이에 5~6m크기의 절개창을 냅니다.
2. 초음파 기구를 삽입하여 아포크린 땀샘을 파쇄한 후 흡인합니다.

소요 시간은 약 1시간 정도 예상되나 수술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경과합병증

초음파 기구 삽입을 위한 절개로 인해 흉터가 남을 수 있습니다.

 

초음파 기구를 사용하므로 열이 날 수 있으며 이열로 인해 겨드랑이 피부에 화상을 입는 경우도 있습니다.

 

재발할 경우에는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수술 후 2일간 압박 붕대를 착용하고, 이후에는 샤워 및 일상 생활이 가능합니다. 
봉합실은 약 1주 후 제거하며, 심한 운동이나 어깨의 과도한 움직임은 1~2주 가량은 금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벼운 부기나 멍은 2주 정도면 해소되며, 겨드랑이가 약간 당기는 듯한 느낌은 정상적인 치유과정으로 가벼운 운동이나 마사지로 풀어주면 됩니다.

 

수술 후 2일 간은 팔의 사용을 자제하시고 팔을 많이 사용할 경우 드물게 피가 겨드랑이에 고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통증이 심한 경우 병원으로 오셔야합니다.

 

수술 후 환부에 출혈, 혈종, 감염 등이 생길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수술 결과에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초음파 열로 인해 화상을 입은 경우 소독 치료, 손상된 피부 절제 등의 추가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헬스팁

아포크린 땀샘은 사춘기에 발달하므로, 이 시기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액취증이 심하면 유난히 몸을 자주 씻고, 진한 향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액취증은 땀이 많이 나는 계절이나 운동 후에는 냄새가 더욱 심하며 정신적인 스트레스에도 영향을 받으며, 여성에서는 생리나 임신 중에 증상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액취증이 있는 사람은 냄새로 인하여 주위 사람과의 접촉을 꺼리고 심리적으로 위축될 수 있으며, 심하면 대인 공포증으로 발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냄새가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겨드랑이 털을 면도하고 그 부위를 항생제 비누로 자주 씻어 주며 항생제와 데오도란트 같은 약품를 발라주는 것 등으로 어느 정도 냄새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냄새가 심하여 사회 생활에 곤란함을 겪는 경우에는 수술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술 시간은 약 1시간 정도 걸리며 흉터가 거의 눈에 띄지 않아 젊은 여성에게도 권할만 합니다. 이 수술은 기존의 삭피법과 비교하여 재발율이 거의 비슷하거나 더 낮으며, 증세가 재발하더라도 어렵지 않게 재수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증상백과 - 증상에 대한 모든것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사업자등록번호 : 219-82-00046 박승일
TEL 1688-7575 /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진료과 바로가기
  • 재단산하기관 바로가기
  • 센터 바로가기
  • 관련기관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9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5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