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35세 여자입니다. 얼마 전부터 어지럼증이 있어 동네 의원에서 피검사를 했더니 빈혈이 있다고 하여 철분제를 복용중입니다. 어지럼증이 빈혈과 같은 것인지, 약은 어떻게 얼마나 먹어야 하는지, 또 음식은 어떤것을 주의해야 하는 지 궁금합니다.
1. 빈혈이 무엇입니까?
단순히 어지럽다고 하여 모두 다 빈혈은 아니며 빈혈은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게 됩니다. 빈혈이란 혈액 속의 적혈구 수나 혈색소량이 정상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혈색소는 각 조직에 산소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남자는 13g/dl 이하, 여자는 12g/dl 이하, 임신 중인 여자는 11g/dl 이하인 경우를 빈혈이라고 합니다.
2. 빈혈이 있으면 무슨 증상이 나타나나요?
① 피부가 창백해집니다.(피부가 노래졌다고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② 쉽게 피로하고 전신적으로 힘이 없으며 몸이 무겁게 느껴집니다.
③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가쁜 경우도 있습니다.
④ 어지럽고 집중력이 감소되며 졸립고 머리가 아프기도 합니다.
⑤ 손, 발 감각이 이상하고 저릴 수 있습니다.
⑥ 월경불순이나 무월경이 생기기도 합니다.
3. 빈혈이 왜 오게 되나요?
① 출혈이 있어서 오는 경우 : 궤양, 십이지장 궤양이나 치질이 있는사람, 대장암, 월경량이 많은 여자 등,
② 적혈구가 파괴되어 오는 경우 : 약물에 의해
③ 적혈구가 잘 생성이 안 되는 경우
- 음식을 가려먹는 어린이 (특히 밥은 잘 안먹고 편식할 때)나 식사량이 적은 노인.
- 술을 먹느라 밥을 자주 거르는 사람
- 만성 신부전증이나 만성 염증성 질환 등의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드물게 재생 불량성 빈혈
4. 빈혈이 있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① 위장질환이나, 각종 암 및 여러 질환에 의해 생길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여 원인을 찾아내야 합니다.
② 식사는 매일 세기를 규칙적으로 항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셔야 합니다.
③ 식사 도중이나 식후 1시간이내에는 철분 흡수를 방해하는 커피, 홍차, 녹차, 청량음료를 드시지 않도록 합니다.
④ 혈액을 만들고 철분 흡수를 도와주는 신선한 채소, 과일을 충분히 드십시오.
⑤ 철분 제재를 드실 때는 용량과 기간이 중요하므로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 복용하십 시오.
⑥ 철 결핍성 빈혈일 때는 다음과 같은 음식을 많이 드십시오.
-간, 선지, 살코기, 계란 노른자, 굴, 조개, 미역, 녹색채소, 건포도, 잣, 개, 콩류 등
5. 철분함량이 높은 식품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곡류군
|
어육류
|
우유군
|
식품명 |
함유랑 |
식품명 |
함유량 |
식품명 |
함유량 |
식품명 |
함유량 |
흰팥 |
3.5 |
대합 |
12.5 |
홍합 |
4.2 |
요구르트 |
3.0 |
|
|
바지락 |
10.7 |
오렁이 |
4.1 |
탈지분유 |
2.6 |
|
|
백모시조개 |
10.0 |
소간 |
4.0 |
조제분유 |
1.7 |
|
|
재치조개 |
8.3 |
공치 |
2.5 |
|
|
|
|
모시조개 |
4.9 |
메추리알 |
2.0 |
|
|
|
|
굴 |
4.9 |
소고기 |
1.9 |
|
|
|
|
소라 |
4.5 |
소곱창 |
1.9 |
|
|
과일군 |
채소군 |
채소군 |
식품명 |
함유량 |
식품명 |
함유량 |
식품명 |
함유량 |
식품명 |
함유량 |
건대 |
4.8 |
깻잎 |
18.8 |
쑥 |
5.5 |
호박씨 |
0.9 |
사과 |
1.2 |
건파래 |
11.7 |
생미역 |
2.9 |
해바라기씨 |
0.8 |
바나나 |
1.1 |
들미나리 |
10.5 |
미역줄개 |
2.4 |
|
|
자두 |
1.0 |
고들빼기 |
8.2 |
|
|
|
|
6. 철분 제재는 어떻게 복용해야 하나요?
공복 시에 복용하는 것이 흡수율을 더 높여 식전에 먹는 것을 권장하지만 위장증세가 있으면 식후에 복용합니다. 알약은 씹어 먹지 않고 충분한 양의 물과 함께 한꺼번에 넘깁니다. 제산제나 커피, 녹차, 우유와 함께 복용하면 흡수가 떨어지기 때문에 같이 복용하지 않습니다.
복용기간은 저장철의 보충을 위해 혈색소치가 정상화된 후에도 4~6개월 더 복용합니다. 변의 색이 가맣게 나올 수 있는데 이는 철분 복용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므로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