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저근막염이란?

족저 근막은 발바닥의 발꿈치뼈(종골 : calcaneus)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앞쪽으로 5개의 분지를 내어 발가락 기저부에 부 착되는 강인하고 두꺼운 섬유띠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체중부하 상태에서 발을 올리는데 도움을 주며 걸을 때 발의 역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족저근막염은 이렇게 아치를 받쳐주는 과정에서 발생되되며 국소 부위에 생긴 염증으로 특징되는 과사용 증후군
또는 족저근막의 해부학적 착점인 종골 부위의 퇴행성 변화이다.
원인은 무엇인가?
<주요 원인들>
첫번째로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족관절의 배측굴곡(발등을 위로 들어올리는) 관절 가동 범위가 제한될 때,
두번째로는 높은 체질량 지수 즉 비만으로 인해 과도한 스트레스가 발에 가해질 때
세번째로 발 뒤꿈치가 외반(바깥 기울어짐)되는 발의 과 회내 상태(편평발)가 대표적인 원인 기전이라 보고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기타 요인들이 존재하고 있다.
<기타 요인들>
장 시간 걷기 또는 서 있기
잘못된 훈련 방법(선수들에서 흔한 원인)
부적절한 신발(밑창이 너무 얇거나 과도하게 휘어지는 신발)
발뒤꿈치 지방 패드의 위축과 노화 등
족저근막염의 치료 방법들
보조기, 발바닥 깔창, 충격파 시술, 수술적 치료, 운동요법
발 뒤꿈치 지방 패드의 위축과 노화 등
족저근막염의 운동요법
1. 족저근막 마사지

2. 종아리와 햄스트링 근육 스트레칭

하지의 후방 근육인 종아리와 햄스트링 근육이 단축되면 무릎의 굴곡 각도를 크게 만드는데 이는 보행 시 발바닥 앞쪽에 가해지는 체중 부하가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게 된다. 또한 발등을 위로 들어올리는 배측굴곡 각도에 제한을 주어 족저근막에 스트레스를 전단시킨다. 따라서 하지의 후방 근육을 이완하는 스트레칭 운동이 필요하다.
3. 발 모양에 따른 운동 동작 선별
1) 과회내된 발(편평발): 발의 종아치 높이를 조절하고 족저근막의 윈들라스 메커니즘 촉진 목표
후경골근, 족저 굴곡근 (비복근, 가자미근,아킬레스), 발의 내재근(발바닥 속 작은 근육들) 강화
고관절 부위 근육 강화(하지로의 충격 전달 조절)
2) 과회외된 발(요족): 발의 유연성 향상에 중점
높은 아치로 인해 발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족저근막의 길이를 늘리고 발목 관절의 움직임을 향상
종아리 근육과 아킬레스 건의 유연성 확보 스트레칭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