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open

닫기
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센터 스포츠건강의학센터

당신의 소중한 건강 서울아산병원이 지켜드립니다. 서울아산병원의 꿈은 당신의 건강입니다.
상세페이지
족저근막염, 운동이 해답이다!

족저근막염이란?

 

  족저 근막은 발바닥의 발꿈치뼈(종골 : calcaneus)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앞쪽으로 5개의 분지를 내어 발가락 기저부에 부  착되는 강인하고 두꺼운 섬유띠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체중부하 상태에서 발을 올리는데 도움을 주며 걸을 때 발의 역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족저근막염은 이렇게 아치를 받쳐주는 과정에서 발생되되며 국소 부위에 생긴 염증으로 특징되는 과사용 증후군

 또는 족저근막의 해부학적 착점인 종골 부위의 퇴행성 변화이다.

 

  원인은 무엇인가?

 

  <주요 원인들>  

첫번째로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족관절의 배측굴곡(발등을 위로 들어올리는) 관절 가동 범위가 제한될 때,

두번째로는 높은 체질량 지수 즉 비만으로 인해 과도한 스트레스가 발에 가해질 때

세번째로  발 뒤꿈치가 외반(바깥 기울어짐)되는 발의 과 회내 상태(편평발)가 대표적인 원인 기전이라 보고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기타 요인들이 존재하고 있다.

 

  <기타 요인들>

 장 시간 걷기 또는 서 있기

 잘못된 훈련 방법(선수들에서 흔한 원인)

 부적절한 신발(밑창이 너무 얇거나 과도하게 휘어지는 신발)

 발뒤꿈치 지방 패드의 위축과 노화 등

 

  족저근막염의 치료 방법들

 

  보조기, 발바닥 깔창, 충격파 시술, 수술적 치료, 운동요법

 발 뒤꿈치 지방 패드의 위축과 노화 등

 

  족저근막염의 운동요법

 

 1. 족저근막 마사지

     

 
 2. 종아리와 햄스트링 근육 스트레칭

        

  하지의 후방 근육인 종아리와 햄스트링 근육이 단축되면 무릎의 굴곡 각도를 크게 만드는데 이는 보행 시 발바닥 앞쪽에 가해지는 체중 부하가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게 된다. 또한 발등을 위로 들어올리는 배측굴곡 각도에 제한을 주어 족저근막에 스트레스를 전단시킨다. 따라서 하지의 후방 근육을 이완하는 스트레칭 운동이 필요하다.

 

 3.  발 모양에 따른 운동 동작 선별

  1) 과회내된 발(편평발): 발의 종아치 높이를 조절하고  족저근막의 윈들라스 메커니즘 촉진 목표

   후경골근, 족저 굴곡근 (비복근, 가자미근,아킬레스), 발의 내재근(발바닥 속 작은 근육들) 강화

    고관절 부위 근육 강화(하지로의 충격 전달 조절)

 

   2) 회외된 발(요족): 발의 유연성 향상에 중점

   높은 아치로 인해 발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족저근막의 길이를 늘리고 발목 관절의 움직임을 향상

    종아리 근육과 아킬레스 건의 유연성 확보 스트레칭 필요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사업자등록번호 : 219-82-00046 박승일
TEL 1688-7575 /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진료과 바로가기
  • 재단산하기관 바로가기
  • 센터 바로가기
  • 관련기관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9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5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