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open

닫기
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센터 천식ㆍCOPD센터

천식ㆍCOPD센터
상세페이지
기침교실

기침이란?

기침은 유해 물질이 기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폐와 기관지에 있는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는 정상적이고도 유익한 신체방어 작용이다. 만약 기침이 없다면 우리 폐는 이미 외부에서 유입된 온갖 더러운 물질로 오염되고 폐에서 생긴 가래가 고여서 누렇게 썩어가고 있을 것이다.

기침의 기간에 따른 분류

기침을 한 기간에 따라 흔한 원인질환이 다르기 때문에 기침은 기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급성기침 : 3주 이내
  • 아급성기침 : 3주-8주
  • 만성기침 : 8주 이상

원인

급성기침 (3주 이내)

성인에서 1-2주 밖에 지속되지 않은 급성기침의 가장 흔한 원인은 감기이고 대부분 몇 일 참다 보면 저절로 호전된다.

아급성기침 (3주-8주)

감기 이후에 콧물, 코막힘, 인후통 등은 없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기침만 1-2달 정도 지속되는 “감염 후 기침”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3주 이상 기침을 하는 경우 상당수가 만성기침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대략 1달 이상 기침을 하면 원인을 찾아보는 것이 좋다.

만성기침 (8주 이상)

대부분 환자들은 기관지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가장 큰 원인은 코 문제이다. 환자들은 “기침이 폐 깊은 곳에서부터 올라와요”라고 호소하지만 이 경우에도 코가 원인인 경우가 더 많다. 알레르기비염, 만성비염, 만성부비동염 등으로 인해 콧물이 코 뒤로 넘어가서 기관지 입구를 자극하고 그 주변 기침반사신경이 과민해져서 기침이 발생한다. 과거에는 후비루증후군으로 불리었고 최근에는 상기도기침증후군으로 불리어지는 병이다. 만성기침의 약 90%는 상기도기침증후군(1위), 천식, 호산구기관지염, 위식도역류질환, 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흡연,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캡토프릴”처럼 “-프릴”로 끝나는 약들) 유발성 기침 등에 의해 발생하며 5%는 폐암, 결핵, 간질성 폐렴, 외부물질 흡인, 암종증, 사르코이드증, 좌심실부전, 인두기능부전, 심인성 또는 습관성 기침 등을 포함한다. 특히 후반부의 상대적으로 드문 병들은 진단을 놓치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진단을 전문가에게 정확히 받아야 한다. 반면 나머지 5% 정도에서는 여러 검사에도 불구하고 원인을 찾지 못하는 특발성 만성기침이 존재한다. 설상가상으로 만성기침은 흔한 원인 질환들이 동시에 두 가지 이상 존재하는 경우들이 상당수 있다. 즉, 한 가지 원인만 가지고 있는 경우가 70-80%이고, 두 가지 원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15-20%이고 3가지 이상의 원인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도 5% 정도 있다. 특히 서울아산병원과 같은 상급종합병원에는 후자의 경우가 더 많아서 원인을 모르는 기침 환자가 10-20% 가까이 되고 복합적인 원인을 가진 환자가 상대적으로 더 많다. 만성기침은 정확한 기침의 원인을 찾아 치료하지 않고는 완치를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정확한 원인 진단과 그 원인에 대한 치료가 필수적이다. 원인에 관계없이 기침을 억제하는 대증치료법은 한계가 많다.

증상

기침이 너무 심하면 일상생활 및 수면이 불가능하고 토하거나 기절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갈비뼈가 부러질 수도 있다. 기침이 심하면 인후두 부위 점막에 상처가 생겨서 피가 섞여 나올 수 있어서 폐암이나 결핵에 걸렸을 것이라는 공포심에 사로잡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기침 자체만으로도 호흡곤란, 가슴통증, 체중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어서 더 심각한 질환에 걸렸는지 고민하게 만든다. 따라서 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로 기침이 오래 지속된다면 반드시 정확한 원인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

테이블의 캡션0 : 테이블 제목
종류 원인 특징
감기 감기바이러스 콧물, 열, 몸살기 등 다른 감기 증상 동반
습관성 기침 예민한 성격에 의한 습관
  • 감기 뒤 끝에 목에 뭔가 걸린 듯한 느낌으로 헛기침을 계속함
  • 마음만 먹으면 참을 수 있음
후비루 증후군 축농증
알레르기비염
코의 물혹
  • 코가 목 뒤로 넘어가는 느낌
  • 아침에 깨면서 목에 고인 코가 가래처럼 나오면서 기침이 2~4회 연속, 종종 코가 막힘
  • 켁켁하면서 목에 걸린 가래를 뱉는 경우도 드물지 않음
기침형 천식 기관지 과민
  • 마른 기침이 연속적, 발작적으로 나옴(심한 경우 토하거나 소변을 지릴 정도)
  • 찬공기, 매연, 담배연기 등에 노출되면 시작
  • 밤에 심하고 간혹 숨이 차고 쌕쌕거림
위식도 역류 식도, 위를 연결하는 괄약근이 느슨해 위 내용물이 식도로 넘어옴 신트림, 위장 화끈거림 등 소화기 증상 동만(없을 수도 있음)
만성 기관지염 반복되는 염증으로
기관지가 좁아짐
  • 가래가 동반된 기침을 반복
  • 1년에 두 달 이상 지속되는 기침, 가래가 2년 이상 계속

진단

만성기침은 원인이 다양하고 서로 다른 원인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증상만으로는 원인 구별이 쉽지 않기 때문에 진단이 어렵다. 병원에 오면 다음과 같은 검사들로 만성기침의 원인을 진단한다.

  • 단순 흉부촬영 : 단순한 검사로서 어느 정도 진행된 폐의 구조적 이상 및 폐렴 등을 확인함.
  • 부비동 촬영 : 만성 부비동염 또는 축농증이 있는지 확인함
  • 비인후 내시경 : 코안의 염증 및 구조 이상을 직접 확인하고 부비동 분비물을 확인함
  • 후두경 : 후두 및 주변의 염증 및 구조 이상을 직접 확인함
  • 기관지유발시험 (메타콜린 또는 만니톨 유발시험) : 기관지가 얼마나 예민하게 좁아지는지를 검사하여 천식이 있는지 확인함
  • 유도객담검사 : 기관지 염증 여부를 측정하여 천식 또는 호산구성기관지염이 있는지 확인함
  • 알레르겐 피부단자시험 : 일상적으로 흡입하는 흔한 항원들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알레르기비염이 있는지 확인함
  • 위식도역류의 경험적 치료 : 제산제를 투여하여 증상의 호전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위식도역류증이 있었는지를 경험적으로 진단함. 위식도역류증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식도 24시간 pH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데 검사가 어렵고 환자도 힘들어서 일부에서만 시행하고 경험적 치료를 통한 진단을 우선시 함.
  • 기관지내시경 : 기관지 내부의 구조적 이상 또는 감염 등을 확인하고 조직 및 세포 등을 직접 얻어서 검사를 함.
  • 흉부 CT : 폐 또는 기관지 내의 구조적 이상 또는 감염 등을 확인함

만성 기침의 진단을 위한 단계적 접근

만성 기침의 진단을 위한 단계적 접근을 위한 설명입니다. 하단 설명 참조

  • 8주 이상의 기침
  • 정상 : 단순 흉부촬영
  • 비정상 : 원인 질환 치료
  • 효과없음 : 흡연 또는 ACE inhibitor
  • 예 : 금연 약제 중단
  • 효과없음 : 후비루 또는 비염증상
  • 예 : 상기도 기침증후군에 대한 치료
  • 효과없음 :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시험 유도객담 검사
  • 비정상 : 김기침형천식 또는 호산구성기관지염에 대한 치료
  • 효과없음 : 위식도역류의 경험적 치료
  • 반응 : 위식도 역류 진단
  • 식도 24시간 pH 검사
  • 비정상 : 위식도 역류 치료
  • 습관성 혹은 심인성 기침 가능성 재고 흉부단증촬영, 기관지내시경등 고려

관리 및 치료

  • 만성기침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첫째, 금연이 중요하다. 담배 자체가 만성 기관지염을 일으켜 만성기침을 유발하기도 하지만 위의 열거한 다른 질환을 악화시켜 기침을 더 심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어린이 천식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부모가 금연을 해야 한다. 단, 금연 후 기침반사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여 기침과 객담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이럴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 둘째,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고혈압 약을 복용 중인 기침 환자에서 시간적 연관성으로 볼 때 약물에 의한 기침으로 의심되지 않더라도 중단하고 기침이 모두 해결된 후 다시 복용하는 것이 좋다.
  • 셋째, 만성기침은 대부분 감기 끝에 시작하므로 손을 잘 씻고 외출 시 따뜻하게 옷을 입어서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감기에 걸리더라도 합병증이 생기지 않도록 잘 치료해야 한다.
  • 넷째, 알레르기비염 또는 만성비염이 있으면 평상시에 관리해서 만성기침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지속적인 비염 환자들은은 코에 뿌리는 국소 스테로이드를 꾸준히 사용해서 만성부비동염으로 진행하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 이렇게 만성비염이 있는 경우 감기가 걸리면 부비동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초기에 치료를 잘 받아야 한다.
  • 다섯째, 천식이 있는 경우 평상시에 흡입스테로이드를 잘 사용해야 하며 감기 자체가 천식을 악화시키므로 감기 치료와 함께 천식치료를 잘 병행해야 만성기침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여섯째, 위식도역류증이 있는 경우에는 식사 및 생활습관 교정이 중요하며 1일 45 g 이하의 지방을 섭취하고, 커피, 차, 소다, 초콜릿, 박하, 토마토 및 감귤류, 술 등을 피하고, 복압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격한 운동은 삼가한다. 위식도역류를 악화시키는 동반질환, 예를 들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또는 약물(질산염이 포함된 심혈관약, 프로게스테론이 포함된 피임약, 데오필린, 칼슘채널억제 고혈압약, 비아그라와 같은 발기부전치료제) 등은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최소 1달 이상은 약제를 사용해야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보통은 2-3개월 이상 치료해야 제대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 일곱째, 심인성 또는 습관성 기침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습관적으로 킁킁 기침 소리를 내는 경우도 있고 심리적으로 목에 뭐가 걸린다는 느낌으로 기침을 하는 경우도 있다. 폐경기 근처의 중년여성에서 잘 발생하고 많은 경우 폐렴이나 심한 감기 이후에 발생하고, 모든 진단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원인 질환이 밝혀지지 않고 수면 중에는 전혀 기침을 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일부에서는 위식도역류질환에 의한 기침으로 밝혀지는 경우도 있지만, 별개의 질환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예방하는 것보다도 이러한 상태를 잘 진단하고 행동교정 치료나 심리치료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진료과 바로가기
  • 재단산하기관 바로가기
  • 센터 바로가기
  • 관련기관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9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5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