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숨을 최대한 들이마셨다가 최대한 힘껏 내쉬게(노력성 호기)하여,
이때 숨 쉰 공기의 양과 유속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폐기능 검사 중 환기 기능을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검사자나 수진자의 노력에 따라 결과 차이가 나므로 충분히 검사 방법을 설명해야 하고
수진자도 노력을 해서 좋은 결과를 얻어야 합니다.
이때 숨 쉰 공기의 양과 유속을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폐기능 검사 중 환기 기능을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검사자나 수진자의 노력에 따라 결과 차이가 나므로 충분히 검사 방법을 설명해야 하고
수진자도 노력을 해서 좋은 결과를 얻어야 합니다.
- 스파이로미터라는 장치에 달려있는 파이프의 마우스피스 부분을 입으로 물고 코를 막은 상태에서 검사를 합니다.
- 평상시 호흡하듯이 가벼운 호흡을 하시다가 최대흡기를 하고 다시 최대호기를 합니다.
- 여러 차례 검사를 시행하여 그 양과 속도를 그래프로 표시합니다.
성별, 연령, 신장을 기준으로 표준 폐활량을 산출하여 측정된 폐활량이 표준 폐활량의 몇 %에 해당하는가에 따라
정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정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폐 기능 장애 (폐의 용적이 감소하는 제한성 환기장애, 기도가 좁아지는 폐쇄성 환기장애,
이 두 가지의 혼합형 환기장애), 폐결핵, 폐 섬유증, 호흡근 장애, 기관지천식,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이 두 가지의 혼합형 환기장애), 폐결핵, 폐 섬유증, 호흡근 장애, 기관지천식, 폐기종, 만성기관지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