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병원약사회
[2011 추계] 면역억제제 복용 환자에 있어서 Rifampin과 Rifabutin의 약물상호작용 | ||
---|---|---|
면역억제제 복용 환자에 있어서 Rifampin과 Rifabutin의 약물상호작용
문송이,김재연,송영천 서울아산병원 약제팀
이식환자는 면역억제제 복용 기간 동안 감염의 위험에 노출되는데, 그 중 결핵은 국내 발병률이 4.5~7.7%까지 보고된다. 결핵의 1차 치료제인 rifampin(RFP)은 강력한 효소유도제로 병용약물의 혈중농도를 감소시켜 거부반응 및 이식장기의 생존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개발된 rifabutin(RFB)도 강도가 덜하기는 하나, 병용약물과의 상호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식환자에게 RFP 또는 RFB을 투여 할 때 면역억제제의 혈중농도 변화 및 차이를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서울아산병원에서 2010.1.1~12.31까지 RFP 또는 RFB을 처방 받은 환자 중 면역억제제를 병용한 고형장기이식환자(n=25)의 약물혈중농도변화 및 용량, 부작용 등을 살펴보았다. RFP복용그룹(n=12)에서 병용 첫7일간 면역억제제의 농도는 tacrolimus(FK506)75.1%, cyclosporine(CsA) 66.1%감소하였고, 증량 후 전체 기간 동안에는 FK506 69.2%, CsA 58.0%감소하였고 Mycophenolate mofetil(MMF)은 9%증가하였다. RFB 복용그룹(n=9)에서 병용 첫7일간 면역억제제의 농도는 FK506 47.0%, CsA 37.2%감소하였고, 증량 후 전체 기간 동안 FK506 33.0%감소, MMF는 100%증가하였다. RFP 에서 RFB으로 변경 한 그룹(n=3)에서 RFP 복용 기간 동안 FK506농도는 73.7%, RFB 복용 기간 동안 46.0%감소하였다. RFB 에서 RFP으로 변경 한 그룹(n=1)에서 RFB 복용 기간 동안 FK506 농도는 59.6%, RFP 복용 기간 동안 79.0%감소하였다. 각 그룹별로 부작용 및 혈액수치 변화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주제어 : Rifampin, Rifabutin, Drug interactions, immunosuppressa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