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병원약사회
[2011 추계] 외래 환자에서 확인한 약물에 의한 부종 발생 현황 파악 및 분석 | ||
---|---|---|
외래 환자에서 확인한 약물에 의한 부종 발생 현황 파악 및 분석
이연주º, 류성길, 김승란, 신혜영, 송영천 서울아산병원 약제팀
안전한 약물 사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면서 지역약물감시센터의 활동을 통해 다양한 약물유해반응 사례들과 관련된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2006년~ 2010년 5년간 외래 처방을 대상으로 상병명 R60 원인 불명의 부종으로 보고된 사례를 전자의무기록 검토하여 약물과의 연관성이 있다고 평가된 것만 분석 사례로 선정하였고, 기저질환으로 인한 경우나 원인을 확인하지 못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선정된 사례는 성별, 연령별, 약물 계통별, 원인약물별, 치료 방법 등으로 분석하였다. 부종의 원인으로 확인된 약물에 대해 보고된 문헌이나 논문을 확인하였다.
5년간 상병명 R60으로 보고된 총 713명의 환자 중 확인된 303명에서 25건이 약물에 의한 부종으로 추정되었으며, 성별에서는 여자가, 연령별로는 60-70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 계통별 분류에서는 심혈관계(40%), 신경계(36%), 대사계, 혈액/조혈계, 호르몬계, 비뇨생식기계 약물 순으로 나타났다. 원인약물별로는 혈압강하제(CCB)에 의한 사례가 많았고, NSAIDs는 다양한 약제에 의한 사례로 확인되었다. 부종 발생 후 치료 방법으로는 약제변경 9건(혈압강하제 7건/당뇨약제 2건), 약물중단 5건(NSAIDs 3건/혈압강하제 1건/혈소판응집억제제 1건), 관찰 11건(이뇨제 투여 3건 포함)이었다. 항파킨슨제와 정신신경용제, Steroids는 치료변경 없이 관찰만 하도록 하였다.
일부 혈압약과 당뇨약, NSAIDs는 부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처방 시 환자에게 주의를 주어 부종 발생 시 반드시 진료를 통해 확인할 것을 미리 알려야 한다.
주제어 : 약물유해반응, 부종, 심혈관계 약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