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 항암주사병동 복약상담 현황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한
복약상담 개선 방안
차현경o, 류수경, 허영설, 김희세, 송영천
서울아산병원 약제팀
배경 및 목적: 암환자의 최대 치료효과를 위해서는 적절한 복약상담이 필요하다. 본원에서는 2008년부터 약사가 항암주사병동 단기 입원 환자에게 찾아가 개별 복약상담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암주사병동 환자 및 보호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상담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조사하고, 복약상담 중재내용을 분석하여 복약상담 업무의 개선 방안을 찾아 보고자 한다.
방법: 2011년 5월 12일부터 6월 1일까지 3주 동안 복약상담을 시행한 환자 148명에게 복약상담의 만족도, 상담을 받기 원하는 내용, 상담시간, 상담횟수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약사 중재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조사 대상 환자의 약사중재 내용은 총 57건으로 그 내용을 분류하면, 정보제공 25건, 부작용 증상관리 14건, 투약 및 복약 과정상의 오류 수정 10건, 처방오류 수정 4건, 환불 4건이었다. 만족도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복약상담 도움여부를 묻는 5점 척도 질문 항목에서 평균 4.7점으로 복약상담이 도움이 된다고 답하였으며, 복약상담 도움 이유를 묻는 항목에서 약의 이름, 효과, 복용법 알 수 있어서라고 답한 환자가 109명(74%)으로 가장 많았다. 복약상담 받기 원하는 내용은 부작용이 74명(51%)으로 가장 많았고, 복약상담을 받는 적절한 횟수를 묻는 질문에 1회 라고 답한 환자가 40명(27%), 환자가 원할 때마다 라고 답한 환자가 39명(26.5%)으로 환자 요구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복약상담 시간의 적절성을 묻는 질문에 평균 4.6점, 복약상담을 시행한 약사의 친절도는 4.9점, 복약상담에 대한 만족도는 4.7점으로 대부분의 환자가 현재 받고 있는 복약상담에 만족한다고 평가하였다.
결론: 이번 조사를 통해 약의 복용방법과 부작용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복약 안내문을 개선하고, 환자 요구에 맞춰 상담을 조절하고, 표준화된 전산화면을 개발하여 관리한다면 효율적이고 질 높은 복약 상담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외래 항암주사병동, 복약상담, 만족도 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