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병원약사회
[2010 추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약품정보전달의 다양화 | ||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약품정보전달의 다양화
권강일o, 박윤희, 한혜원, 김재연, 송영천, 곽혜선a 서울아산병원 약제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a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라 환자 및 일반인은 신뢰성 있는 약품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제공해 주는 어플리케이션을 필요로 한다. 해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약품정보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해 국내에서는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나와 있는 약품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제공 방식과 내용 및 사용자 유형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약품정보 관련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에서 개발 사용중인 “My Medication”어플리케이션을 소개하고자 한다.
조사를 위한 검색툴로써 Android 기반은 Android Market, T-Store, Samsung Apps를 사용하였고, iOS(iPhone)는 App Store, iTunes Store를 사용하였다. 검색어로서 약, 약물, 약품, Drug, Medication, Pharmacy를 사용하여 검색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으로 언어, 운영체제, 검색어, 카테고리, 예상 사용자, 가격 등에 따라 분류하였다. 카테고리는 계산기, 교육, 뉴스/매거진, 법률, 약품정보, 연구, 트랙커로 분류하였고, 예상 사용자는 의료인과 환자 및 일반인, 가격은 무료, 유료로 분류하였다.
총 293개의 어플리케이션이 검색되었다. 사용언어는 영어가 288(98%)개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한국어는 8(2%)개에 불과하였다. 운영체제 구분 시, iOS(iPhone)이 Android보다 많았고(205 vs 58) 양쪽 모두 적용되는 것은 30개였다. 카테고리 별로는 약품정보 43%, 트랙커 28%, 교육 10%, 계산기 9%, 연구 4%, 뉴스/매거진 4%, 법률 2% 순이었다. 약품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정보로는 계산기와 질병 및 치료정보 13개, 약품식별과 계산기 7개, 계산기 2개, 약품식별과 계산기 1개, 질병 및 치료정보 1개 순이었다. 예상 사용자는 의료인 63.1%, 환자 및 일반인 36.9%로 의료인 대상 어플리케이션이 많았다.
본원의 약품정보 어플리케이션인 “My Medication”은 iOS(iPhone) 기반의 환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약품식별, 약품정보 검색 및 내 약물추가의 기능을 가지며, 성분, 함량, 효능, 상호작용, 주의사항 등의 약품정보를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환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어플리케이션이 부족하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관심 증가와, 스마트폰 사용자의 대부분을 차지할 환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약품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