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병원약사회

한국병원약사회 상세페이지
[2010 추계] 폐암환자에게 micelle paclitaxel제제 투여시 나타나는 과민반응의 양상과 위험요소 분석

폐암환자에게 micelle paclitaxel제제 투여시 나타나는 과민반응의 양상과 위험요소 분석

 

이미경o, 박향민, 김재연, 송영천, 곽혜선a

서울아산병원 약제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a

 

 

Paclitaxel은 폐암을 비롯한 다양한 암에 쓰이는 항암제이다. 하지만, 발진, 심계항진, 호흡곤란, 저혈압 등의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paclitaxel의 가용화제인 Cremophor?EL을 원인으로 본다. 이에 Cremophor?EL의 과민반응을 극복하기 위하여 생체 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가용화한 polymeric micelle paclitaxel 제제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폐암 환자에서의 paclitaxel 제제(Cremophor?EL제제와 micelle 제제) 의 과민반응의 발생현황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아산병원에서 2007년 7월부터 2010년 8월까지 paclitaxel 제제를 포함하는 항암화학요법을  투여받은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전자의무기록(EMR)을 바탕으로 환자의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 병기, performance status, 알레르기력(음식, 약물)의 유무, 병력(당뇨, 결핵, 고혈압 등), 흡연·음주 여부, 화학요법 경험 여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과민반응 발생 주기, 과민반응이 발생한 경우 증상여부와 그 발현 시간, 과민반응에 대한 처치와 재발여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Paclitaxel 제제를 포함하는 항암화학요법을 투여받은 폐암환자는 191명이었다. 그 중 Cremophor?EL제제를 투여 받은 환자가 97명, micelle 구조를 가지는 paclitaxel 제제를 투여한 환자가 94명이었다.

Cremophor?EL제제의 과민반응 발생율은 6.2%(6명) 였으며, micelle 구조를 가지는 paclitaxel제제를 투여했을 때는 40.4%(38명)이 과민반응을 보였다.

 

특히 micelle 구조를 가지는 paclitaxel 제제를 투여받을 때의 과민반응은 두번째 주기에서 89.5%(84명)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과민 반응을 보인 환자 중 grade 3/4 해당하는 반응을 보인 환자는 7.4%(7명) 이었다. 또한 과민반응과 관련이 있는 인자는 당뇨(p value=0.01)였다.

Micelle 구조를 가지는 Paclitaxel 제제를 투여할 때는 과민반응에 유의하여야 하며, 두 번째 주기에서는 주의 깊은 모니터가 필요하다. 앞으로 micelle 구조를 가지는 paclitaxel 제제 투여시 지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9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2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