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Herpes zoster)
1. 정의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가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뒤 잠복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재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임상질환
2. 발병기전 및 병리
(1) 일차감염
• 대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 바이러스는 복제되어 그물내피계통으로 퍼지며 바이러스 혈증 유발, 이로 인해 광범위하고 산발적인 피부병변 유발
(2) 재발감염
• VZV가 재활성화되어 대상포진을 일으키는 기전은 밝혀지지 않음. 수두를 앓는 동안 후근반사신경절을 침범하고 재활성화될 때까지 잠복된 상태로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됨.
• 급성 대상포진을 앓고 있는 시기의 후근반사신경절의 병리학적 소견은 출혈, 부종, 림프구 침윤 등임.
• 드물게 재활성화된 VZV가 폐를 침범한 경우 간질성 폐렴, 다핵거대세포 형성, 핵내 봉입체, 폐출혈 등이 나타나고, 중추신경계에 침범한 경우 홍역 및 바이러스성 뇌염과 비슷한 혈관주위세포 침윤이 나타남.
3. 증상
(1) 일반적인 특징
• 단일 피부분절(dermatome)내에 편측 수포발진 발생
• 피부병변이 나타나기 48-72시간 전에 통증이 먼저 나타나고 그 후 홍반성 반구진성 발진이 생기고 빠르게 수포성 병변으로 진행 (정상적인 환자의 경우, 병변은 3-5일 동안 진행)
• 총 이환기간은 일반적으로 7-10일이지만 피부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데는 2-4주도 걸릴 수 있음.
(2) 합병증
• 대상포진후 신경통(PHN) : 50세 이상 환자의 50%가 피부병변이 사라진 수개월 후에도 어느 정도의 통증을 느낌.
• 국소화된 대상포진 후에 중추신경계로 침범할 수 있는데, 수막뇌염의 경우 두통, 발열, 눈부심, 수막염, 구토 등의 증상을 나타냄, 이 때, 드물게 반대쪽 반마비를 동반한 육아종 혈관염의 증상을 나타내기도 함.
4. 치료
(1) Antiviral therapy
• 빠른 상처 치유, 급성 신경염으로 인한 통증의 심각도와 기간 감소, PHN의 발생률과 심각도 감소
• 50세 이상의 환자에게 추천됨. 임상적 증상이 나타난 후 72시간 이내에 치료해야 함. (Table 참조)
(2) 통증관리
• 경증의 통증: NSAIDs나 acetaminophen 단독 투여 또는 약한 마약성 진통제(codeine 등), tramadol을 병용 투여
• 중등도/중증의 통증: 강한 마약성 진통제(oxyconone, morphine 등) 투여
• 통증지속 시 glucocorticoids 요법 고려
(3) Glucocorticoids 사용
삶의 질을 개선, 치유시간 단축, PHN의 발생률 감소 위해 항바이러스제와 병용
Prednisolone 경구투여
1-7일 : 60mg/day
8-14일 : 30mg/day
15-21일 : 15mg/day
일반적인 병용은 추천되지 않으나(2차 세균 감염 유발 가능) 급성 신경염 환자에서 보조요법으로 사용
이 요법은 내원 당시 중등도 혹은 중증의 통증이 있는 비교적 건강한 성인에서만 적절함.
골다공증, 당뇨병, 당뇨,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음.
항바이러스제를 같이 투여하지 않는 한 단독으로 사용해서는 안됨.
|
Acyclovir |
Famciclovir |
Valacyclovir |
원내코드 |
ACYC, ACYC4 |
조비락스 정
200mg, 400mg |
FCYC25
FCYC75 |
팜비어 정
250mg, 750mg |
VALT5 |
발트렉스 정
500mg |
XACYC |
조비락스 주
250mg |
적응증 |
단순포진, 구순포진, 대상포진, 단순포진성 뇌염, 피부점막 단순포진, 신생아 단순포진, 수두 |
급성 대상포진, 면역기능이 정상적인 환자에서의 재발성 생식기포진, HIV감염 환자의 재발성 피부점막/생식기 단순포진 |
면역기능이 정상적인 환자에서의 대상포진, 생식기포진, 구순포진 |
작용기전 |
바이러스 효소에 의해 acyclovir가 monophoaphate를 거쳐 triphosphate로 전환됨. 이는 viral DNA polymerase에 대해 deoxyguanosine triphosphate와 경쟁적으로 작용하고, viral DNA에 결합하여 DNA 합성과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함. |
활성형태인 peniciclovir로 빠르게 생체전환됨: peniciclovir는 acyclovir와 동일한 과정으로 peniciclovir triphosphate로 전환되어 acyclovir triphosphate와 동일한 기전으로 항바이러스 작용을 함 . |
장, 간대사에 의해 빠르고 거의 완전하게 acyclovir로 전환되어 acyclovir와 동일한 기전으로 항바이러스 작용을 함. |
용법·용량 (대상포진 치료시) |
경구투여
: 성인 1회 800mg 1일 5회(Q4hr), 7일간
정맥투여
- 면역이 저하된 12세 미만의 환자
: 1회 20mg/kg, Q8hr, 7일간
- 면역이 저하된 12세 이상의 환자
: 1회 10mg/kg 또는 500mg/m2, Q8hr, 7일간 |
500mg, Q8hr, 7일간 |
1g, 1일 3회, 7일간 |
부작용 |
>10%: 권태감
1-10%: 두드러기, 가려움, 발진, 오심, 구토, 간수치 상승, 정맥염, BUN/Cr상승 |
>10%: 두통, 오심
1-10%: 피로, 편두통, 가려움, 발진, 월경통, 설사, 구토, 호중구감소증 |
>10%: 두통
1-10%: 현기, 월경통, 오심, 구토, 백혈구/혈소판감소증, AST증가 |
약
동
학 |
흡수 |
경구 투여 시 15-30% |
음식물은 Cmax를 감소시키고 Tmax를 연장시킴 (AUC는 동일) |
|
분포 |
분포용적: 0.5L/kg, 뇌, 신장, 폐, 비장, 근육, 자궁, 질, CSF 등 넓게 분포 |
분포용적: 0.91-1.25L/kg |
acyclovir가 뇌, 신장, 폐, 비장, 근육, 자궁, 질, CSF 등 넓게 분포 |
대사 |
바이러스효소에 의해 acyclovir monophosphate로 전환, 다른 효소에 의해 diphosphate, triphosphate로 전환 |
빠르게 peniciclovir로 deacetylated됨 |
초회통과효과에 의해 빠르고 거의 완전하게 acyclovir와 L-valine으로 전환 |
T1/2 |
신생아: 4시간
1-12세: 2-3시간
성인: 3시간 |
Peniciclovir: 2-3시간 |
Acyclovir: 2.5-3.3시간
Valacyclovir: ~30분
ESRD에서, acyclovir: 14-20시간 |
배설 |
뇨배설(62-90%: 미변화체, 대사체 형태) |
뇨배설(90%: peniciclovir 형태) |
뇨배설(88%가 acyclovir로 배설) |
Reference
1. Drug Information Handbook International 16th edition
2.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3. www.uptodate.com 4. Quick Guidebook for Pharmacists 제1판, 2009, 서울아산병원 약제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