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병원약사회
[2009 추계]소아 Osteosarcoma 환자의 High-dose methotrexate 혈중 농도와 Toxicity와의 상관관계 | ||
---|---|---|
소아 Osteosarcoma 환자의 High-dose methotrexate 혈중 농도와 Toxicity와의 상관관계
이주형°, 강유진, 김재연, 곽혜선a, 송영천 서울아산병원 약제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a
High-dose methotrexate는 소아 osteosarcoma 환자 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항암제이지만 mucositis, 간독성, 골수 억제 등의 부작용의 빈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독성 발현 예방을 위해 methotrexate 4시간 infusion 후 leucovorin rescue 요법, hydration과 함께 혈중 농도를 24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링 한다. 본 연구는 methotrexate 혈중 농도가 실제 독성 발현과 어느 정도 상관성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서울 아산병원에서 osteosarcoma 로 치료 받은 소아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retrospective study를 수행하였다. 이들의 총 methotrexate 투여 횟수는 164 회였고, 용량은 12g/m2로 투여되었다. 환자의 자료는 모두 의무기록을 통해서 수집했고, methotrexate 혈중 농도, leucovorin rescue 양, 약물 투여 후 간수치, mucositis 발생, neutropenic fever 로 인한 입원 치료 여부 등을 조사했다. Mucositis가 나타난 환자의 48 시간 째 혈중 농도는 0.54±0.54μM 로 mucositis가 없었던 환자의 48 시간째 농도 0.40±0.31μM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33), 혈중 농도가 0.1μM 미만으로 떨어진 시간이 99.00±28.34μM 일 때 grade 3 (NCI CTC) 이상의 심각한 mucositis가 나타났다 (grade 2 이하 88.65±23.54μM, p=0.023). 또한 neutropenic fever로 입원하여 치료 받은 환자의 24시간 째 혈중 농도는 10.13±16.80μM로, neutropenic fever가 나타나지 않았던 환자의 혈중 농도 5.61±9.54μM 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42). 간수치는 혈중 농도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leucovorin rescue 양과 독성 발현과의 유의한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환자의 독성 발현 예방을 위해 methotrexate 투여 후 24시간과 48시간 째 혈중 농도를 확인하고 빠른 약물 소실을 위해 hydration과 leucovorin rescue 양을 증량하는 등 적극적인 intervention이 요구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