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병원약사회
[2007 추계]응급카트 약품 관리시스템 변경에 의한 업무 개선 효과 | ||
---|---|---|
응급카트 약품 관리시스템 변경에 의한 업무 개선 효과 양진아°, 서울아산병원 약제팀 응급상황 발생시 성공적인 life support를 위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응급카트의 구비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응급상황은 카트 내 약품의 재고가 소진될 정도의 빈도로 일어나지는 않아 약품의 사용회전율이 낮으므로 유효일자 관리가 중요하다.서울아산병원의 기존 응급카트약품 관리시스템은 실물 및 전산 유효기간 관리 불편함과 상호불일치 가능성이 있으며 유효기간표기 생산약품까지도 교체 시마다 약국에 의뢰하여 전산 등록해야 하는 절차의 불편함이있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업무부담이 컸다. 이에 응급카트 약품을 생산시 유효기간 표기 유무에 따라 구분하고, 유효기간 미표기 생산 약품에 대해서 유효기간을 확보한 약품을 년 1회일괄교체 공급하고 유효기간 표기 생산 약품의 유효기간은 부서 내 자체 관리하기로 하였다. 또한 처방시 응급카트 약품임을 표시함으로써 약국이 적정 유효기간이 확보된 약품을 불출하여 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카트 약품 관리시스템 변경에 의한 업무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관리방법 변경 전 7개월간 약제팀의 응급카트 약물교환 및 수정 건을 검토하였고, 보유부서의 응급카트 담당자를 대상으로 관리방법 변경 전후에 대해 설문 조사하여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약품 교환건을 검토한 결과, 평균 1개월 간 약품 교환 및 전산 수정 요청 건수는 135건으로 이 중 전산수정을 요청한 건수는 66건, 유효기간 임박 교환 건수는 39건, 미표기 약품 맞교환 건수는 30건이었다. 설문조사결과, 변경 전 유효기간 미표기 약품 관리방식이 불편하였고, 표기약품의 전산을 통한 유효기간 관리가 불편하였다고 답했다. 또한 관리 절차상 시간/인력적 소모가 있어 업무에 방해되었다고 했다. 반면 변경 후 관리방식에 대해서는 만족하고, 기존 관리방식보다 더 개선되었으며, 전체업무에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관리시스템의 변경이 교환절차의 간소화, 실물관리의 편리, 유효기간 확보, recharging 시간 단축 등의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켰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