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질환정보
[소아청소년 종양혈액과] 방사선 치료와 부작용 및 관리 | ||
---|---|---|
방사선 치료의 원리는 고 에너지의 이온화된 광선을 이용하여 피부안 심층에 있는 암세포의 DNA를 손상시켜 재생력을 파괴시키는 것입니다. 방사선 치료만 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소아암에서는 수술과 항암제 치료를 병용합니다. 소아암의 종류, 나이, 환아의 상태, 항암제 프로토콜에 따라 방사선 치료가 결정되며, 방사선 치료하기 전에 방사선 종양학과 선생님과 상의를 합니다. 방사선 치료가 결정되면, 방사선 치료 부위를 확실하게 결정하기 위해 모의 치료(simulation)를 하고, 본격적으로 치료를 시작합니다.
방사선 치료를 위한 준비작업으로서, 컴퓨터 단층촬영(CT)을 이용하여 환아의 자세 및 고정기구 제작, 치료 부위 및 치료 범위의 선정, 치료 방향 및 방사선의 종류 선택, 방사선 조사량을 결정한 후 실제 방사선 치료를 위한 표시로 점, 선, 등을 특수 제작된 잉크로 피부에 표시하게 되는 과정입니다.
치료받는 동안 환아는 움직이지 않아야 합니다(필요한 경우 수면제를 투여합니다).
피부의 변화, 구강염, 구강건조증, 입맛의 변화, 감염, 출혈, 피로, 체중감소, 설사, 오심, 구토, 두통, 탈모 등 방사선 조사 부위에 따라 구내염, 방광염, 소장결장염, 식도염, 신염, 신장애, 위궤양, 위염, 폐렴 등이 생길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