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소아뇌전증

소아뇌전증 상세페이지
교육세미나_소아청소년 뇌전증의 특징

뇌전증의 증상 및 진단   -  고태성 교수님 -

 

소아청소년 뇌전증의 특징 및 결론

 

소아청소년 뇌전증은 성인 뇌전증과는 여러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1) 연령별로 다른 발작의 원인이 있고
2) 연령별로 존재하는 뇌전증 증후군이 있다는 점
3) 발작은 미성숙 뇌에서 발생하기 쉽다는 점
4) 뇌전증과 감별해야 할 유사질환도 연령별로 다르다는 점
5) 한 환자라도 연령에 따라서 뇌전증 발작의 양상이 바뀌어 가는 경우가 있다는 점
6) 소아기에는 예후가 매우 좋은 양성 뇌전증이 많다는 점
7) 반대로 난치성 뇌전증인 경우에는 소아기의 성장과 발달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점 등

따라서 소아에서 발작이 있는 경우에 우선전으로 뇌전증인지 뇌전증 유사질환인지를 감별한 다음, 뇌파 및 MRI 검사를 통하여 정확하게 뇌전증의 세부진단을 내려야만, 그에 맞는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

약물치료만으로 전체 환자의 약 70~80% 정도는 발작 조절 및 치료가 가능하고, 약물 치료로 조절이 안되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 의 경우에는 뇌전증 수술이나 식이요법 등의 적극적인 치료를 해줘야만, 환자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기대해 볼 수 있게 되므로 뇌전증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위 글은 '뇌전증 환아 및 보호자 교육 세미나' 자료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9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2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