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병원약사회

한국병원약사회 상세페이지
[2010 추계] 암환자 대상 전화복약상담 현황분석 및 업무개선

암환자 대상 전화복약상담 현황분석 및 업무개선

 

석류진o, 류수경, 김희세, 송영천, 곽혜선a

서울아산병원 약제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a

 

 

연구배경 및 목표 : 암환자는 질병에서 오는 문제뿐 아니라 항암제의 독성과 부작용에 의해서도 치료와 삶의 질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항암제의 복약지도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외래 복약상담실에서는 소화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복약지도와 전화상담 업무를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화상담기록지 내용을 분석하여 상담내용을 파악하고 복약상담 업무 개선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2010년 5월부터 7월까지의 전화상담기록지 자료를 토대로 전화상담 환자의 특징, 진단명, 약물, 질문종류, 상담결과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전화상담기록지를 바탕으로 총 430건의 질문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전화상담 환자 수는 245명이었다. 진단명은 위암(39.2%), 대장암(19.6%), 췌담도암(15.9%), 간세포암(9.8%), 위장관간질종양(7.3%), 기타 순이었고, 복용하는 경구 항암제는 티에스원?(40.0%), 젤로다?(12.2%), 넥사바?(7.8%), 등의 순이었다. 질문 종류로는 부작용 호소(44.2%), 정보제공(17.4%), 증상관련(10.5%), 투약상담(10.0%) 등의 순이었으며, 가장 많이 호소한 부작용은 소화기증상(73.3%), 피부증상(40.0%), 전신증상(15.0%), 눈증상(8.3%) 이었다. 상담결과는 약사상담(68.1%), 외래방문(13.5%), 근처병원 방문(6.7%), 의사확인(5.6%), 추후 재문의(2.6%), 응급실방문(2.1%) 순이었다.

환자가 실제로 많이 호소하는 부작용을 중심으로 항암제 복약 상담지 내용을 개선하였다. 또한 전화 상담 내용을 바탕으로 전화복약상담 환자관리 전산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결론 : 전화 상담 내용 분석을 통하여 환자들의 다빈도 질문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전산 프로그램 개발로 한 화면에서 전화상담 환자에 대한 관리가 가능해졌다. 앞으로 환자 개개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자료 축적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질 높은 복약상담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9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2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