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병원약사회

한국병원약사회 상세페이지
[2009 추계]흡입기 복약지도에 의한 치료 효과 분석

흡입기 복약지도에 의한 치료 효과 분석

 

고은정°, 이현희, 정주원, 김재연, 나양숙, 송영천, 곽혜선a

서울아산병원 약제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a

 

 

Introduction : 최근 환경오염, 화학물질 노출 및 노령화 등으로 만성 호흡기 질환의 발병률 및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질환의 치료약물인 흡입기에 있어서 환자의 올바른 흡입기 사용 능력은 치료효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확한 흡입기 사용을 위한 환자 교육과 지속적인 평가로 환자의 흡입기 사용 능력 및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켜 치료 효과를 최대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원에서는 천식센터 내에 약사가 상주하며 흡입기 복약지도를 실시하였고 약사의 복약지도 이후 만성 호흡기 질환의 치료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Method : 2008년 10월 1일부터 2009년 4월 30일까지 서울아산병원 천식센터에서 약사에게 2회 이상 흡입기 복약지도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retrospective cohort study를 수행하였다. 등록된 모든 환자들의 자료는 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하였고, 성별, 나이, 흡연력, 신체 계측 등의 기본 정보와 사용하고 있는 흡입기, 복약지도 시행 횟수, 복약지도 시행 간격, 복약지도 시행 전, 후의 폐기능(FVC%, FEV1%, FEV1/FVC%, PEF%), 천식조절점수, 흡입기 사용 등급을 조사하여 복약지도 전, 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Results : 기간 내 복약지도를 2회 이상 시행한 환자는 총 183명으로 평균 나이는 52.1세였고 남자가 74명(40.4%)이었다. 복약지도 시행 횟수는 평균 2.41회였고, 평균 복약지도 시행 간격은 45.48일이었다. 복약지도 시행 후 FVC%, FEV1%, PEF%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천식 조절 점수에서는 유의한 향상은 없었다. 흡입기 사용 등급을 2회 이상 평가한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복약지도 시행 후 65%가 흡입기 등급이 1단계 이상 상승하였으며, 33.3%는 유지, 6.7%는 하락하였다. 폐기능이 향상, 유지, 악화된 환자 군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영향 인자는 없었다.

Conclusion : 약사에 의한 복약지도 시행 전, 후 폐기능의 개선과 흡입기 사용 능력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9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2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