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병원약사회

한국병원약사회 상세페이지
[2007 추계]내과계 중환자실(MICU)에서 TPN 사용과 hyperglycemia 발생에 따른 치료효과 비교

내과계 중환자실(MICU)에서 TPN 사용과

hyperglycemia 발생에 따른 치료효과 비교

 

박지원°, 정주원, 김재연, 송영천

서울아산병원 약제팀

 

중환자에 있어서 혈당조절의 중요성과 TPN 사용한 중환자에게 hyperglycemia 발생 위험이 높은 것은 많은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다. 연구는 TPN 사용한 내과계 중환자에서 TPN 사용현황과 hyperglycemia 발생 정도를 알아보고hyperglycemia 발생에 따라서 치료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 1 1~6 30일에 서울아산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재원하면서 5 이상 TPN 투여받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retrospective study 수행하였다. 환자의 자료는 모두 의무기록을 통해서 수집했고, 각각 TPN 사용 초기 7 간의 TPN 조성, infusion rate, calorie 7 동안의 serum glucose level, liver function, serum albumin, protein, infection 여부 등을 조사했다. 연구에서는 serum glucose level >150mg/dl 경우를 hyperglycemia 정의했다. TPN 투여된 147명의 환자 기저질환으로 당뇨를 가진 환자(31, 21%) 제외하여 116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TPN 투여된 초기 7 사이에 Hyperglycemia 발생한 환자는 65(56%)이었고, hyperglycemia 발생군(65) 비발생군(51)간에 성별, 초기 APACHE score, TPN 투여 영양상태, insulin 사용 정도, 인공호흡기 사용, 군간의 TPN 공급정도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환자의 나이(61.9±15 vs52.7±19) TPN 시작 혈당(154.5±53mg/dl vs 132.6±47mg/dl)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hyperglycemia 발생에 따른 catheter-related infection정도(13.8% vs 2%) 중환자실 사망률(56.9% vs37.3%)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9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2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