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14
• 고혈압 질환, 체액, 전해질 이상을 수반하는 여러 가지 질환 진단
• Aldosterone의 주요 작용은 원위 세뇨관의 이온교환 부위에 작용하는 Na+, OH‾재흡수와 K+, H+
분비를 촉진하여 세포 외액량이나 전해질 농도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원발성 aldosterone 증
등의 고혈압성 제 질환, Bartter증후군, Liddle증후군, 17α-hydroxylase 결손증이라는 부신피질 효소 결손증
또는 선택적 저 aldosterone증 등에서 나타나는 혈청 K 이상증, 또는 부종질환 등을 감별하는데 필요한 검사이다.
• 채혈시간과 체위 및 안정시간을 기록하여야 한다.
• 채혈조건이 분명치 않을 경우 결과 해석이 곤란하다.
• 혈중 Aldosterone 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성별 : 현저한 차이는 없지만 여성에서 월경주기의 황체기에 분명한 증가치를 보인다.
- 일내 변동 : Aldosterone 분비는 ACTH에 의해서도 자극되기 때문에 체위나 순환 혈장 량의 변화가 없는 한 혈중 농도는 아침에 높고, 심야에 낮아진다.
- 체위 : 누운 자세에서 낮고 서있는 자세에서 고농도를 보이는데 그 차이는 1.5~2배 정도나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