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이야기

정신건강이야기 상세페이지
[정신건강칼럼 10월] 나쁜 아이가 아니라, 상처받은 아이

나쁜 아이가 아니라, 상처받은 아이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전문가 김혜진

 

「I killed my mother」

 

칸의 총아라고 불리 우는 자비에 둘란 감독의 2009년 데뷔작입니다. 자비에 둘란 감독은 영화에서 16세 사춘기 소년인 주인공 역까지 겸하고 있죠. 영화는 엄마를 사랑했지만 더 이상 엄마의 아들이긴 싫다는 주인공의 독백으로 시작합니다. 아들은 "나는 누군가의 아들일 수는 있지만 엄마의 아들이긴 싫다." 고 말합니다. 영화에서 어머니와 아들은 참 안 맞는데요. 특히 대화가 안 통합니다. 교통 신호도 제대로 지키지 않는 어머니가 자신에게 잘잘못을 따지며 훈계하고, 자신이 이야기할 땐 뉴스 듣는 데 방해가 된다고 조용히 하라고 하더니 음악을 듣고 있는데 이어폰을 빼버리며 이야기 좀 하자고 하는 어머니의 모순을 아들은 견디기 힘들어합니다. 화내는 아들에게 급기야 어머니는 ‘니네 아빠랑 똑같지’라는 말을 합니다(‘지 애비 닮아서’ 라는 말은 어머니들의 만국 공통어 인가 봅니다). 어머니와 아들의 갈등은 극에 달하고 아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어머니는 아들을 기숙학교에 보내려고 하죠. 기숙학교에 데려다 주는 어머니에게 독설을 날리며 아들은 묻습니다. “내가 오늘 죽으면 어떻게 할 거야?” 영화에서 어머니는 이혼 후 아들을 홀로 키우고 있습니다. 아들은 4세 이후로 항상 혼자였다고 말하죠. 아들은 어머니가 싫어하는 행동을 보란 듯이 다 하면서 어머니에게 “이래도 날 사랑해?” 라고 묻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문제 행동은 부모 역할을 재확인하려는 것일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불안할 때 ‘나쁜 행동(부모님이 싫어하는 행동)’을 함으로써 자신이 안전한지 묻고 있는 것일지 모릅니다. 이 때 부모님이 아이의 두려움을 읽고 안전하다는 것을 확신시켜 주어야 합니다. 아이들을 체벌하거나 상처 주는 말을 하는 것은 설령 일시적으로 그 행동을 나타나지 않게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화가 나고 원하는 대로 되지 않으면 폭력이든 심한 말이든 어떤 방법이든 다 동원해도 된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 될 수도 있습니다. 잠깐 나타나는 효과에 대한 대가치고는 너무 큰 것 같습니다. 대신 부모님이 조절된 행동을 보여준다면 아이들은 부모님을 통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얻을 것 입니다. 감정 조절은 부모님들 편에서 아이가 하길 바라는 것이지만, 부모님도 하셔야 하는 것이죠. 간단하고도 효과적인 방법 몇 가지만 소개할까 합니다.

 

우선, Stop & Think

화가 났을 때 잠시 멈추고, 내가 지금 하는 행동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생각하고 행동하세요. 지금 내가 아이한테 화풀이를 하는 건 아닌지, 아이가 한 행동에 비해 지나치진 않은지. 어떻게 말해야 아이에게 도움이 될지 멈추고 생각하세요. 부모님이 바라시는 건 아이가 상처받는 것이 아니라 변화되고 성장하는 것이니까요. 화가 잘 조절되지 않을 때는 10을 거꾸로 세거나 물을 한잔 마시면서 잠깐 숨을 돌려도 되고 심호흡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I message

I message는 아이의 행동이 아닌 나의 감정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차가 다니는데도 아랑곳하지 않고 뛰어다니는 아이에게 “니가 제 정신이니” 하지 마시고, "밖에서 자꾸 뛰어 다니면 엄마는 너가 사고 날까봐 걱정돼" 라고 말하시면 됩니다.

 

한 가지 더 덧붙이자면, 아이들은 부모님이 자신의 감정을 알아주길 원합니다. 아이들이 감정을 읽어주길 바라고 하는 질문이나 이야기에 비난이나 훈계를 하는 것은 오히려 반항심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시험을 망친 후 시험 문제를 낸 선생님을 탓하는 아이가 못마땅하더라도 “그러게 공부를 열심히 하지 그랬니.” 라는 말은 하지 마세요. 그냥 “그래 잘하고 싶었을 텐데 못 봐서 속상하겠다.” 여기까지만 하시면 됩니다. 영화에서 4살 이후로 항상 혼자였다고 말하는 아들이 듣고 싶었던 말은 그때는 어쩔 수 없었다는 변명보다 “너가 많이 외로웠겠다” 는 말이었을지 모릅니다.

 

아이들이 부모로서 이해되지 않는 행동을 할 때 사실 아이는 잘하고 싶고 사랑받고 싶지만 뜻대로 되지 않아서 좌절감과 두려움, 무력감과 슬픔으로 떨고 있을지 모릅니다. 이때 아이를 나쁜 아이로 본다면 부모조차도 화가 나고 등을 돌리고 싶어질지 모릅니다. 부모가 아닌 다른 성인은 오죽할까요. 그러면 아이들은 갈 곳이 없어지고 그 안에 두려움은 더 커지고 사랑받지 못할 행동만 골라서 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상처받은 아이로 본다면 안타깝고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들 것입니다. 아이들은 부모님의 눈빛을 보고 진심을 알아차립니다. 아이들의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만 보고 나쁜 아이로 규정짓고 내면의 마음은 공감하지 못한다면 어떤 훌륭한 조언도 약이 되지 못합니다. 그건 성인도 마찬가지죠. 우리가 몸에 상처가 났을 때는 아물 때까지 연고도 바르고 반창고도 붙여서 다시 상처가 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것처럼 마음의 상처도 마찬가지입니다.

 

영화 이야기로 돌아가 볼까요. “내가 오늘 죽으면 어떻게 할 거야?” 라는 질문을 던진 후 대답을 듣지 않고 등을 돌리는 아들 뒤에서 어머니는 나지막하게 말합니다. “그럼 난 내일 죽을 거야.” 이런 저런 조언을 하지만 그 누구보다도 부모님이 아이들을 사랑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마음만큼 아이들을 키우면서 느끼는 좌절감도 크겠죠. 마음이 잘 전달되지 않고,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영화는 기숙학교에서 사라진 아들을 어머니가 찾아오는 장면으로 막을 내립니다. 아들은 부모가 이혼하기 전에 살던 집, 어머니를 사랑했던 장소에 와 있습니다. 그렇게 어머니가 마음에 안 들고 벗어나고 싶다고 말했으면서 아들은 어머니와의 사랑을 떠올릴 수 있는 곳에 와 있습니다. 아이들의 미운 행동 뒤에는 이런 마음이 있다는 것을 안다면 아이에게 조금 더 따뜻하게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이가 이렇게 묻는 날이 올 지 모릅니다. “이래도 날 사랑해?” 당신은 어떻게 응답하시겠습니까?

 

 

  • 현재 페이지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이메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8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2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