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이야기

정신건강이야기 상세페이지
노년기 우울증에 대하여

노년기 우울증
 
“이만큼 살았으면 됐지.자식들에게 부담되기 싫어요” 
“정신이 없고, 자꾸 깜빡 깜빡하는데 치매는 아닌가요?”
“아버지께서 요즘 자주 외출을 귀찮아 하시고 TV만 보고 계세요”
“어머니께서 요즘 드라마 보시다가 자꾸 우세요”

 

기분저하, 인지저하 등으로 자녀와 함께 병원을 찾는 노인 환자들이 늘고 있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이 보도한 자료에 따르면 노년기 우울증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고 한다. 65세 이상의 우울증 환자수는 2004년 89,040명에서 2009년 147,721명으로 5년간 1.7배 증가하였다.
노년기에는 신체 건강상의 문제, 사회 환경적 요인 등으로 우울증에 노출되기 쉬운 시기인데 반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정신건강 관련 의료 서비스를 상대적으로 덜 받고 있다. 
노인은 정신과적 증상을 표현하는 것을 꺼려하며, 정신과적 증상을 신체적 증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어 진단되지 않고 지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년기 우울증의 유병률은 높다. 국내 주요우울장애의 유병율은 3.1%인데 65세 이상 노년기 우울증의 유병율은 5~10% 가량에 달한다.  (2011, 보건복지부「정신질환 실태조사」)

우울증이 노년기 치매의 초기소견 이거나, 혹은 우울장애 기왕력이 치매 발병의 위험인자가 되고 우울증이 심한 경우 자살로 이어질 위험이 있어서 이에 대한 관심과 치료 관리가 중요하겠다.
 
 
노년기 우울증의 증상
 

일반적인 우울증상은 기분저하, 의욕저하, 식욕저하, 수변의 변화, 불안 초조, 피로감, 죄책감, 집중력 감퇴, 자살사고 등이다. 


노년 우울증의 임상 양상 젊은 연령 우울장애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아니나 각각의 증상 별 빈도에 있어서 몇 가지 차이점이 존재한다.


다른 연령의 우울장애 환자에 비해 무감동증, 기분의 반응성 저하, 식욕저하, 과도한 죄책감 등의  멜랑콜리성 우울 증상이 흔하다.


건강염려증적 호소와 불면, 초조 등의 증상을 더많이 호소한다.


집중력과 기억력의 저하 역시 주된 증상이며 특히 우울증상이 심한 경우에 두드러진다.

 

노년기 우울증의 원인

 

노년기 우울증은 여성, 이혼, 별거, 낮은 사회경제 수준, 불량한 사회적 지지, 예기치 않은 불행한 사건, 기능상실을 초래하는 심각한 내과적 질병등이 관련 있다고 한다.

사회적 요인 
낮은 교육수준, 사회지지 체계의 부족, 외로움, 외로움, 고립, 사별, 활동능력 감소, 사회적 참여의 감소, 치매 환자를 돌보는 경우 등

생물학적 요인 
 우울장애의 유전적 경향 즉 가족력, 이전 우울증의 기왕력, 내과적 질병(파킨슨병, 알츠하이머치매, 암, 당뇨, 뇌졸중, 뇌의 혈관상 변화, 만성 통증, 물질 남용 등 

심리적 요인 
외상 경험 (노인학대), 신체 이미지에 대한 손상, 죽음에 대한 공포, 기억상실에 대한 실망, 역할 변경 등 
다음과 같은 사건 이후 
 친구혹은 이웃과 다툼, 거절당하는 사건, 사람하는 사람의 죽음, 애완 동물의 죽음, 부정적 사건의 매년 기일, 내과적 질환, 일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사건 등.

 
노년기 우울증의 진단
 
다음 우울증 척도를 통해서 우울증이 의심되는 경우를 선별할 수 있는데 5점 이상일 경우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다.

 
우울증검사(Geriatric Depression Scale) 축약형 (15문항)

 

지난 1주 동안의 자신의 기분을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면 <예> 그렇지 않으면 <아니오>에 표시를 하여 주십시오. 

 

우울증검사
지난 한주 동안의 느낌 아니오
1. 현재의 생활에 대체적으로 만족하십니까?    
2. 요즈음 들어 활동량이나 의욕이 많이 떨어지셨습니까?    
3. 자신이 헛되이 살고 있다고 느끼십니까?    
4. 생활이 지루하게 느껴질 때가 많습니까?    
5. 평소에 기분은 상쾌한 편이십니까?    
6. 자신에게 불길한 일이 닥칠 것 같아 불안하십니까?    
7. 대체로 마음이 즐거운 편이십니까?    
8. 절망적이라는 느낌이 자주 드십니까?    
9. 바깥에 나가기가 싫고 집에만 있고 싶습니까?    

10. 비슷한 나이의 다른 노인들보다 기억력이 더 나쁘다고 느끼십니까?

   
13. 기력이 좋은 편이십니까?    
14. 지금 자신의 처지가 아무런 희망도 없다고 느끼십니까?    
15.자신이 다른 사람들의 처자보다 더 못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노년기 우울증의 치료
 

노년기 우울증이 의심되어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
신체적 질환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진단적 평가와 치료는 철저하고도 포괄적으로 진행된다. 
효과적 치료방법으로 약물치료, 전기경련요법, 정신치료 등이 있다.


사회 및 가족의 지지
사회적 철퇴는 노년기 우울증의 흔한 증상이기도 하지만, 외로움이나 고립감 등은 그 자체가 우울증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도 있어서 가족들은 우울증 환자를 감정적, 재정적으로 지지해주어야 한다.
가족 외 지지를 얻는 가장 흔한 곳은 종교단체이며, 경로당이나 노인 회관도 사회적 관계, 동년배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자리이므로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다.

  • 현재 페이지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이메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8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2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