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이야기

정신건강이야기 상세페이지
공황장애

공황장애는 심한 불안발작과 함께 다양한 신체 증상들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불안장애의 일종입니다. 공황장애는 예측할 수 없는 공황발작(panic attack)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장애를 이야기 합니다.
 
공황 발작시에는 심한 공포감이나 불안감과 함께 다음과 같은 증상 중 4가지 이상이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몇 분 이내에 최고조에 이릅니다.
-       두근거림,  심계 항진, 빈맥
-       땀이 남
-       몸이 떨리거나 후들거림
-       숨이 가쁘거나 답답한 느낌
-       숨이 막혀 질식할 것 같은 느낌
-       가슴 통증이나 불쾌감
-       메스거리거나 속이 불편함
-       어지럽거나 쓰러질 것 같은 느낌
-       이인감 혹은 비현실감
-       자제력을 잃거나 미쳐버릴 것 같은 두려움
-       죽을 것 같은 공포감
-       감각과민이나 이상감각
-       춥거나 화끈거리는 느낌.
 
공황발작이 반복적으로 예기치 않게 일어나면서 다음 불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걱정하거나 발작의 결과에 대해 심히 염려하거나 공황발작과 관련되어 행동의 변화가 있을 때 공황장애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신체증상과 심한 공포감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공황발작시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여러 가지 검사들을 시행한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거나 잠시 안정을 취하면 증상이 호전되고, 검사 결과상 아무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공황장애의 초기에는 간헐적인 공황발작만 발생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한 2차 증상들이 동반되면서 더욱 괴로움에 빠지기도 합니다. 발작이 반복될 것에 대한 두려움과 이에 대한 생각에 사로잡히는 예기 불안은 공황발작이 발생하지 않는 시간에도 불안감에 떨게 만듭니다. 또한 광장공포증이나 우울증, 알코올 의존 등의 이차적인 증상들이 동반되어 점점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고 사회적으로 고립되기도 합니다.
 
공황장애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임상 양상과 더불어 신체적 질환과 다른 정신질환이 배제되어야 합니다. 심장질환이나 내분비질환 같은 경우 공황발작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고, 일차적인 신체 질환을 치료해야 증상을 호전 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우울증, 범불안장애, 사회공포증 등의 다양한 정신질환 역시 공황 발작(panic attack)이 발생 할 수 있어 공황장애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정신과적인 면담이 꼭 필요합니다.
 
공황장애의 주된 치료 방법은 약물 치료인지행동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는 항우울제와 항불안제를 사용하여 증상을 호전시키고, 재발 방지를 위해 8~12개월 정도 약물치료를 유지합니다. 증상의 완전한 관해가 있을 경우 약물을 중단할 수 있으나 약물을 중단할 경우 약 50% 이상의 환자에서 증상이 재발하며, 유지요법의 기간이 길수록 재발률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인지행동치료는 정신치료의 일종으로서 대개 그룹으로 진행되며, 공황 발작에 대한 잘못된 믿음과 정보를 교정하며, 이완훈련, 호흡훈련 등이 함께 이루어집니다. 인지행동치료를 통하여 필요한 약물을 줄이거나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공황발작을 다룰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되어 통제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서울 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공황장애 환자들을 위한 집단인지행동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필요할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현재 페이지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이메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8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2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