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진
  • 진료예약
  • 예약조회
  • 병원안내
  • 건강 정보
예약 및 문의 1688-7575
메뉴열기

서울아산병원

serch
닫기

검색어 삭제 검색

메디컬칼럼

현훈증(어지럼증)

 

어지럼(현훈)증은 누구나 흔히 경험할 수 있는 증상이다.

 

일상생활이나 일을 할 때 때로는 앉아서 편안히 쉬고 있을 때도 생길 수 있고, 자고 일어나자마자 생기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많은 환자들이 어지럼증을 경험한 후 주위에 그와 같은 증상을 가진 사람들이 무척 많다는 데 놀라기도 하고 위안을 삼기도 한다. 어지럼증은 아주 경미하거나 무척 심한 경우까지 다양하다. 아주 심한 환자들은 대개 “이러다 죽는구나”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고 생활도 위축되어 우울증으로 진전되기도 한다.

 

어지럼증이 있다고 해서 다 어떤 병이 있어서 그런 것은 아니다. 몸의 피곤한 상태, 일시적인 기분, 감정의 변화, 심리적인 요인 등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생기는 경우라면 질병이라고 까지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그 증상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검사를 통해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과거에는 내이나 신경계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하고 제대로 된 검사장비가 개발되지 않아서 “빈혈” 또는 “몸이 약해서”라는 막연한 원인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또한 어지럼증은 환자들마다 양상이 다르며 표현하는 법도 다르기 때문에 우선 어지럼증의 내용을 파악하는 부분에서부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실지로 어지러운 양상의 표현도 “어질어질하다”, “핑 돈다”, “빙빙 돈다”, “비틀비틀하다” 등등 다양한데, 각각의 표현마다 환자가 말하고 싶은 내용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이렇게 다양한 표현이 나오게 된다. 그 원인도 매우 다양해서 전체 현훈증 환자의 약 2/3 정도는 내이에, 나머지 1/3 정도는 중추신경계와 기타 부위의 이상에 의해 생긴다고 한다.

 

우리가 평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크게 시각, 내이전정기관, 피부, 근육이나 관절의 고유수용체로부터 들어온 정보를 뇌에서 종합(통합)하여 자세 유지를 위한 운동신호를 보내기 때문이다. 우리의 일상생활 중 이들 감각기관이 일하지 않는 시간은 한 순간도 없으며, 잘못된 정보가 뇌로 전달되거나, 또는 중추신경계에서 정보의 분석(통합)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어지럼증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감각기관 중 어디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신적인 동반질환에 대한 검사와 전정기능 검사를 시행하며 그 결과를 토대로 치료를 시작하는데, 며칠만에 치료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대개 몇 주 또는 몇 개월이 걸리기도 한다.

 

원인의 다양성과 비례하여 치료방법, 임상경과도 매우 다양하므로 환자들에게 정확한 진단과 더불어 올바른 병의 지식을 심어주어 어지러운 증상 뿐 아니라 이와 동반된 신경증적인 이상까지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내이 속의 평형기관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검사장비가 개발되어 많은 경우 그 어지럼증의 원인을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사회가 고령화와 산업화 되면서 점점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그중 상당부분이 내이에 기능적인 이상을 가지고 있는 환자이다.

 

가장 흔한 내이장애질환으로는 양성돌발성 체위변환성 현훈이라는 긴 이름의 질환인데, 이는 머리를 일정한 방향으로 돌릴 때 어지러움증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진단과 동시에 치료를 시작할 수 있으며 더욱이 여러가지 체위변환요법이 등장하여 상당수에서 증상을 없앨 수 있어서 더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질환이다.

 

또 다른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메니에르병을 들을 수 있는데, 이는 어지럼증, 이명(귀울림), 난청 등이 반복적으로 생기며, 양측성으로도 생기는 대표적인 내이질환이다.

 

전정기능검사는 전기안진검사, 온도자극검사, 회전검사, 자세검사 등을 다 합쳐서 검사하게 되며, 이외에 특별한 질병의 진단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변형된 검사방법들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어지럼증의 치료는 대부분 식이요법, 약물치료 및 물리적인 재활치료로 나누어지고 꾸준한 치료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올바른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 정종우님의 목록 이미지입니다.

    정종우

    이비인후과,암병원,인공와우클리닉,뇌종양센터

    중이염,난청,인공와우이식,두개저종양,안면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