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open

닫기
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메디컬칼럼

메디컬칼럼
소를 잃었어도 외양간을 고쳐야 하는 이유 저자 : 장재원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는 손을 써도 소용이 없음을 비꼬는 말이죠. 그렇지만, 삶이라는 것을 곰곰이 돌이켜보면 소를 잃었어도 외양간을 고쳐야 하는 경우가 훨씬 많은 것 같습니다. 그 까닭은 같은 잘못을 반복하는 경우 뼈저린 후회를 하게 되며, 더 큰 노력을 하여도 돌이킬 수 없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일 겁니다.

 
당뇨병에 걸렸다는 것은 건강을 잃은 것이므로 소를 잃은 것과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건강의 일부를 잃은 것이므로 여러 마리의 소들 중 한 마리를 잃었다고 할 수 있을 겁니다.

 

결국, 남은 소들을 지키기 위해 외양간은 당연히 고쳐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외양간을 고치기 귀찮아하거나 “설마, 소를 또 잃겠어?”라는 생각으로 지내시는 분들이, 더 많은 소를 잃게 되면서 당뇨병성 신증으로 신장내과에 오시게 되는 것입니다.

 

당뇨병성 신증은, 오로지 혈당만이 문제이던 당뇨병 시절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여 생기는 합병증으로, 단백뇨를 초기 증상으로 하며 수명 연장과 함께 그 빈도가 증가하는 질환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신장내과에 오시면 “투석만은 안 할 수 있게 해달라.”며 외양간을 고치실 적극적인 의사를 보이신다는 겁니다. 중요한 것은 외양간을 고치는 데도 원칙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는 철저한 혈당 조절(당화혈색소 7% 미만)과 혈압 조절(125/75 mmHg 이하), 고지혈증의 치료(우리 몸에 해로운 콜레스테롤인 저밀도 스테롤 100 mg/dL 미만), 당뇨 식사의 준수 및 근육량을 늘리려는 꾸준한 유산소 운동 등이 해당됩니다.

 

단백뇨 단계에서 회복되지 못하면, 신장의 노폐물 제거 능력이 떨어지게 되며 오줌 성분이 혈액 내에 쌓이게 됩니다.
신장의 노폐물 제거 능력은 사구체 여과율 로 표시하는데 30 ml/min 근처에 도달하면, 당뇨병 위주의 식사가 아닌 만성신부전 식사로의 변경, 빈혈의 치료 및 각종 성분의 교정과 같은 적극적인 신장내과적 치료가 요구됩니다.

 

이 시점의 치료 목표는 신기능 저하 속도를 늦추면서 신기능의 부분적인 회복을 돕는 것입니다.

하지만, 단백뇨가 심할수록 신기능의 저하 속도가 빨라 아무리 열심히 치료하여도 신기능의 소실을 막을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이 단계에 도달하지 않도록 당뇨병 초기에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겠습니다. 사구체 여과율이 10 ml/min이하가 되면, 잃어버린 신기능을 대신할 투석이나 신장 이식이 필요하게 됩니다. 이 상황에서는 잃어버린 신기능을 아쉬워하기 보다는 남은 여명을 보람차게 누리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장재원님의 목록 이미지입니다.

장재원

의사
진료과 신장내과,당뇨병센터
전문분야 당뇨신장병증 클리닉, 신장 질환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 현재 페이지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진료과 바로가기
  • 재단산하기관 바로가기
  • 센터 바로가기
  • 관련기관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7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美뉴스위크, 서울아산병원 5개 임상분야 세계 10위권
  • 한국산업고객만족도지수(KCSI) 종합병원 부문 9년 연속 1위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