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open

닫기
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메디컬칼럼

메디컬칼럼
시력이 점점 나빠지는 내 아이, 안경착용 언제 하는 것이 좋을까요?

 

 

“이 나이에 정상적인 소아 시력은 어느 정도인가요?” 진료실에서 가장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이다.

 

신생아는 큰 형태만을 인지하다가, 약 생후 3개월이 되면 눈을 맞추고 따라 보게 되며, 이후 급격하게 발달하여 6세가 되면 성인의 시력까지 거의 도달하게 된다.

어린이의 시력발달은 대개 만 8~10세를 전후하여 완성되므로 그 이후에는 더 이상 교정시력이 발달하지 않는다. 만약 8~10세 당시에 안경을 끼고 볼 수 있는 최대교정시력이 0.5 라면 더 이상 시력이 나아지지는 않고 평생 0.5 시력으로 살아가야 한다는 의미다. 이것을 약시라고 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입학 후에 눈의 이상을 발견한다 해도 이미 치료시기가 늦은 경우도 적지 않다.

 

아이들은 시력이 나쁘더라도 특별히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다. 항상 세상을 그 정도로만 봐 왔기 때문에 원래 그렇게 흐린 줄 알지 다른 사람들은 자기보다 더 또렷하게 세상을 보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별히 일상생활 중에서 부모들이 아이의 시력이 나쁘다는 것을 의심할 만한 몇 가지 증상이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나이에 상관없이 꼭 검사를 받아야 한다.

 

생후 3개월이 지나도 엄마와 눈을 못 맞출 때

 

눈이 가만있지 않고 흔들거릴 때

 

검은 동자 가운데 동공이 희게 뭔가 낀 듯 보일 때

 

물체를 보는 눈의 시선방향이 바르지 않다고 느껴질 때, 즉, 한눈이 몰리거나 혹은 한눈이 밖으로 나가는 듯 보일 때

 

물체를 주시할 때 자꾸 고개를 옆으로 돌리거나 기울이고 보는 경향이 있을 때

 

햇빛 혹은 불빛을 유난히 싫어하거나 과도하게 민감하다고 느껴질 때

 

텔레비전, 책, 컴퓨터, 혹은 물체를 가까이 다가가서 보거나 지나치게 눈을 찡그리고 보려 할 때

 

가족 내에 유전적인 눈 질환이 있을 때

 

 

그렇다면 안경착용은 언제 하는 것이 좋을까?

 

시력저하의 원인이 선천성 백내장이나 녹내장, 안검하수와 같은 특별한 질병이라면 그것을 먼저 교정해야 하고, 근시, 난시, 원시 등 굴절이상(눈 도수의 이상) 때문이라면 정확한 굴절검사를 시행해서 안경 착용이 필요한지를 결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0.4 시력의 3세 아이가 굴절검사로 1.0 이상의 교정시력이 나오는 경우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못 느끼기 때문에 안경 착용을 늦추고 좀 더 관찰하는 것도 괜찮다. 그러나 나이에 비해 눈의 도수가 높은 원시, 근시, 난시가 있는 경우, 그리고 두 눈의 도수 차이가 큰 부등시가 있는 경우에는 약시의 발생이 높기 때문에 안경착용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어떤 이들은 안경을 착용하면 계속 시력이 더 나빠지는 것이 아닌지 걱정하는 경우도 있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안경은 선명한 망막상을 만들어 시각의 발달, 뇌시각피질의 발달을 자극하는 것이지 안경으로 인해 눈 시력이 나빠질 수는 없다. 안경을 장기간 착용하면 얼굴형이 변한다고 특히 여자아이들을 가진 부모들이 많이 걱정한다.

안경을 너무 얼굴에 꽉 끼게 착용하는 경우, 혹은 코를 너무 누르는 경우 등 잘못된 안경착용습관이 오래된 경우 그럴 수도 있다. 그러므로 얼굴형에 맞는 적절한 안경을 골라 좋은 착용습관을 들이게 되면 이 또한 문제될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소아안과사시학회에서는 모든 어린이가 만 4세 이전에 반드시 안과 검진을 받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눈에 대한 이상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나이에 상관없이 언제라도 안과 검진을 받도록 권하고 있다. 그리고 5세 이후부터는 매년 시력검진을 받도록 권한다.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 현재 페이지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진료과 바로가기
  • 재단산하기관 바로가기
  • 센터 바로가기
  • 관련기관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7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美뉴스위크, 서울아산병원 5개 임상분야 세계 10위권
  • 한국산업고객만족도지수(KCSI) 종합병원 부문 9년 연속 1위 선정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