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늘 피곤합니다.” “늦잠을 자고 일어나도 개운치가 않아요.”
이런 호소를 하며 외래를 찾아오는 환자가 늘고 있다.
또, 다른 증상을 가지고 찾아온 환자도 종종 상담 도중 만성적으로 피곤함을 호소한다. 어떤 경우는 종합검진을 하고 싶다고 하기도 하고 간기능을 검사해 보고 싶다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검사를 해 보면 대부분 정상소견을 보인다. 또는 약간의 경미한 이상소견을 보이기는 하지만 환자들이 호소하는 피곤함과는 직접적인 연관관계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관심들이 많은 간 기능도 마찬가지다. 만성적으로 간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은 종종 피곤한 증상을 느끼지만 역으로 피곤한 사람 중에 간기능이 안 좋은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다. 뇌종양 환자들은 머리가 아프다고 하지만 반대로 두통을 호소하는 사람들 중에는 머리 속에 종양이 있는 사람이 1%도 안 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그렇다면 나는 지금 이렇게 피곤한데 검사결과는 다 좋다고 하니 무슨 연유일까?

만성피로 환자들에서 대부분의 원인은 생활습관이다.
“회사일 때문에 이틀에 한 번씩은 회식을 합니다.” “담배를 하루에 한 갑씩 피웁니다. 술 마실 때는 두 갑도 넘고요.” “새벽에 물건을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4시에는 일어나요. 잠은 11시쯤 자고요.” 이런 대화들은 피곤의 원인을 그대로 밝혀 주는 중요한 단서들이다. 담배는 옛날부터 피웠고 술도 벌써 20년째 마시는데 왜 지금 와서 피곤해지는가? 다른 병이 생긴 것이 아닐까?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것은 우리 몸이 그만큼 적응해 왔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근근이 적응해 오던 몸이 이제는 그것을 증상으로 나타낼 만큼 약해졌다고도 볼 수 있고 지금까지의 나쁜 습관들이 누적되어 이제는 증상을 나타내기 시작한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남자들은 보통 30대 초반까지, 여자들은 출산하기 전까지는 최상의 건강을 누리기 때문에 잦은 음주, 흡연, 불규칙한 수면 등 나쁜 습관들이 있어도 별 피곤함 없이 지내올 수 있었으나 이제는 술 마신 다음 날 깨기가 어렵고 휴일엔 아무리 늦잠을 자도 피곤하게 되어버린 것이다.

여기에 또 한 가지 피로의 중요한 원인으로 스트레스가 있다.
육체적인 업무의 강도가 낮더라도 정신적으로 스트레스가 많고 걱정거리가 있고 늘 긴장하고 있으면 심한 피로를 느끼게 되고 이런 스트레스가 육체적인 과로나 나쁜 습관들과 어우러지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의 피로감까지 느끼게 되는 것이다. 피로의 양상이 잠을 많이 자도 지속되며, 아침에 더 피곤하고 수면장애나 불안 등의 심리적 상태가 같이 있으며 체중감소나 발열 등의 신체증상이 없는 경우, 또 의사의 간단한 진찰이나 검사에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는 앞에서 언급한 잘못된 습관과 스트레스에 기인한 피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 경우의 치료는 실제적으로는 어렵지만 이론적으로는 간단하다. 자신의 습관 중에 해당 사항을 바꾸는 것이다. 금연을 실행하고 (도저히 불가능하면 줄이기라도 한다. ) 일주일에 회식은 1회 정도로 제한하고 규칙적인 수면습관을 갖도록 노력한다. 한 가지 덧붙일 것은 스트레스 해소와 미래의 건강에 대한 준비책으로 매일 어렵더라도 약간씩의 운동을 하도록 한다. 아파트를 한 바퀴 뛰는 것도 좋고 텔레비전을 보면서 윗몸일으키기를 해도 좋다. 시간없어서 못 한다고만 하지 말고 현실에서 가능한 운동을 골라서 시행해 본다.
직장에서 받는 어쩔 수 없는 스트레스, 이미 정해진 근무 시간 등 본인이 바꿀 수 없는 것이야 할 수 없지만 본인이 노력해서 개선할 수 있는 부분들 만큼은 교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신이 노력은 하지 않고 피로하다고 검사만 백날 받아봐야 계속 피곤할 뿐이다.
선우성
의사
진료과 |
가정의학과
|
전문분야 |
건강검진 이상소견, 성인병관리, 금연 클리닉, 평생건강관리 클리닉(회원제), 암예방 클리닉(회원제) |
|